전원주택 건축정보/인테리어목조황토한옥철콘벽돌alc

천년한옥

오 즈 2011. 3. 30. 00:56

[건축-한옥]한국 건축 용어 1 -건물명-일반

한국 건축 용어 1
1. 건 물 명-일반
l 살림집 : 가족이 살림 하는 집. 여엄집. 주가. ↔영업집.
l 모임집 : 한 채의 집의 네 귀에 추녀를 달아 용마루까지 올려서 지붕의 4면으로 빗물이 흐르게 된 집. 우진각집.
l 우진각집(隅進閣家) : 모임집.
l 합각집(合閣家) : 처마 끝은 모임 지붕처럼 되고, 지붕마루 부분에 삼각형의 벽을 꾸며 까치박공을 달은 집. 팔작집(八作家).
l 팔작집(八作家) : 한 채의 집의 네 귀에 추녀를 달고, 위는 합각을 낸 집. →합각집. 팔각가.
l 박공집(朴工家) : 건물의 측면 좌우 끝에 박공을 달아 벽면 상부가 삼각형으로 된 집. 맞배집. 뱃집. 뱃집은 배 위에 집을 지을 때 간단히 박공집으로 한 데서 온 말.
l 맞배집 : 박공집.
l 뱃집 : ①박공집. ②배 위에 간단히 지은 집. 대개 지붕 모양을 박공집 형식으로 함.
l 삿갓집 : 지붕을 삿갓 모양으로 꾸민 집. 방형집(方形家). 네모집.
l 사모집 : 평면이 정방형으로 되고, 추녀 마루만이 지붕 중앙에 모이게 된 집.
l 폿집 : 포살미(包山彌)을 짜서 꾸민 집.
l 다포간: 공포의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꾸며 놓은 집. 갖은포집. 조선조 이후의 건축에 많이 쓰이었음.
l 주심포집(柱心包家) : 공포가 기둥 위에만 배치된 집.
l 갖은포집 : 공포 여러 개를 써서 꾸민 집.
l 하앙집(下昂家) : 경사포재(傾斜包材)로 꾸민 폿집.
l 익공집(翼工家) : 기둥 위에 익공쇠서를 놓아 꾸민 집.
l 무익공집(無翼工家) : ①익공이 없고 소로만으로 장식하여 꾸민 집. ②물익공집의 딴말. 물익공집.
l 일익공집(一翼工家) : 기둥 위에 익공쇠서 하나만을 끼우고 중간에는 소로장식을 꾸민 집.
l 이익공집(二翼工家) : 익공쇠서를 사하에 두 개를 써서 꾸민 집.
l 물익공집(勿翼工家) : 익공쇠서의 끝이 두리 뭉실한 초엽무늬를 새겨 만든 것을 쓴 익공집. 무익공집.
l 삼량집(三梁家) : 전후 처마도리와 용마루도리 셋으로 구성된 지붕틀로 꾸민 집. 곧 도리 세 개로 짜인 집. →세마루집.
l 세마루집 : 삼량집.
l 사량집(四梁家) : ①한 간 또는 한 간 반의 간 사이에서 전면은 오량집처럼 도리를 걸고, 후면은 세마루처럼 꾸민 집. ②마루도리를 걸지 아니하고 전후도리를 가깝게 걸고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며 용마루는 적심 또는 알매흙으로 채워 꾸민 집. →평사량집.
l 평사량집(平四梁家) : 마루대 없이 전후중도리에 서까래를 수평으로 걸고 지붕마루는 적심이나 흙을 채워 꾸민 집.
l 오량집(五梁家) : 지붕 전후면에 처마도리와 중도리를 걸고 중앙에 용마루도리를 걸어 지붕틀을 꾸민 집.
l 칠량집(七梁家) : 2간 반 또는 3간 이상이 되는 간 사이에 전후 처마도리와 중도리 및 용마루도리 7개를 걸어서 꾸민 집.
l 엇치량집 : 전면은 칠량, 후면은 오량 형식으로 지붕틀을 짜서 지은집. 지붕틀을 엇치량으로 꾸민 집.
l 엇마루집 : 지붕마루가 집채의 중간에 있지 아니하고, 한쪽으로 치우쳐 있어 전후 지붕면의 길이나 경사르 다르게 꾸민 집. 엇가게에서 온 말.
l 단청집(丹靑家) : 단청으로 도채한 집.
l 백골집(白骨家) : 단청이나 다른 칠을 하지 아니하고 목재면을 그대로 둔 집.

l 백골집(白骨家) : 단청이나 다른 칠을 하지 아니하고 목재면을 그대로 둔 집.
l 소로수장가 : 도리 및 장여 밑에 소로를 받쳐서 장식한 집.
l 굴도리집 : 단면이 원형인 도리로 꾸민 집. ↔납도리집.
l 납도리집 : 사각형 단면의 도리로 꾸민 집. ↔굴도리집.
l 민도리집 : ①소로나 도리 밑 장여를 쓰지 아니하고 네모 도리로 꾸민 집. ②정사각형 단면의 모를 크게 접은 도리로 꾸민 집.
l 상투집 : 기둥머리에 긴 촉을 내어 보를 얹어 촉을 끼우고 그 위에 도리를 걸어 촉이 끼이게 하는 구조로 꾸민 집.
l 도끼집 : 재목을 제재하거나 정밀하게 깎지 아니하고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어서 지은 집.
l 막대기 : 전각이나 사당 등에서 공포나 익공을 쓰지 아니하고 지은 집.
l 채 : ①집채. ②건물의 동수를 세는 단위.
l 집채 : 함게 구조된 집. 독립된 건물.
l 주건물 : 주된 기능을 가진 건물. 본채. 몸채.
l 본채 : 한 대지 내에서 가장 중요한 건물. →몸채. ↔부속채.
l 곁채 : 한 집의 몸채의 곁에 따로 세운 집채.
l 본관 : 한 대지 내에 지은 여러 채의 건물 중에서 가장 주되는 건물.
l 별관 : 주되는 건물에 딸린 본채와 떨어져서 지은 부속 건물. 별채.
l 별동 : 따로 지은 집채. 별채.
l 부속건물(部屬建物) : 주된 건물에 부속되는 건물로서 따로 지은 집채. 한 대지 내에 위치해야 하거나 주건물의 운영에 필요한 적절한 규모의 건축물.
l 고상식(高床式) : 일 층 바닥을 지면에서 떨어져 높이 꾸민 집의 형식. 누마루식.
l 저상식(低床式) : 일 층 바닥을 지면에 붙여서 낮게 꾸민 집의 형식.
l 각(閣) : ①석축이나 단상에 높게 세운 집. ②명사 밑에 붙어서 격식이 높은 집이란 뜻을 나타내는 말. 전각(殿閣)
l 당(堂) : ①주거(住居)•방(房)•대청(大廳). →내당(內堂). ②관아(官衙)•사원(寺院) 등의 큰 집.
l 당우(堂宇) : 큰 집과 작은 집. 정당(正堂)과 옥우(屋宇).
l 당집 : 서낭당. 국사당(國師堂)과 같은 토속신을 모신 집. 무당이 경을 읽거나 제사도 지냄. 당옥.
l 정당(正堂) : 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정전(正殿).
l 정전(正殿) : ①궁궐에서 조회를 행하던 전각(殿閣). ②한 구획 내에 지은 여러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l 본전(本殿) : 한 구획 내에 지은 채의 집 중에서 가장 주되는 집채.
l 정침(正寢) : ①집 안에서 가장 주가 되고 중심이 되는 집 또는 방. ②제사를 지내는 몸채의 방.
l 전각(殿閣) : ①임금이 거처하는 궁전(宮殿). ②궁전과 누각(樓閣).
l 왕궁 : 임금이 있는 곳. 궁궐(宮闕). 궁전(宮殿).
l 궁궐(宮闕) : 임금이 계시는 곳. 대궐(大闕).
l 궁전(宮殿) : →궁궐.
l 궁실(宮室) : 궁전의 방.
l 침전(寢殿) : ①임금의 침방이 있는 집. ②정자각(丁字閣).
l 별궁(別宮) : 궁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따로 지은 궁실. 이궁(離宮). 행궁(行宮).
l 행궁(行宮) : 별궁.
l 이궁(離宮) : 임금의 출유(出遊)시에 머무르기 위하여 대 궐이회의 지역에 지은 궁전. →별궁.
l 범궁(梵宮) : 절을 높인 말. 사찰(寺刹). 선궁(禪宮). 초제(招提).
l 공해(公廨) : 관청 소유의 건물의 총칭. 공청(公廳).

l 관아(官衙) : 관공서, 관청(官廳), 공해(公廨).
l 감영(監營) : 감사가 집무하는 관아. 순영(巡營).
l 동헌(東軒) : 지방의 고을원이나 감사(監司)•병사(兵使)•수사(水使) 그외 수령(守令)들이 공사를 처리하던 집. 동현마루.
l 관사(官舍) : 관리가 사는 집.
l 강무관(講武館) : ①무술을 강습하던 집. ②장수•군사와 장정들을 모아 임금의 주장(主掌)으로 사냥 또는 무술을 닦고 가르치는 집. 강무당(講武堂)
l 비각(碑閣) : 비석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세운 건물. 보호각(保護閣)
l 묘정비각(廟庭碑閣) : 문묘(文廟)나 사묘(詞廟)의 뜰안에 세운 비각.
l 인경전(人一殿) : 보루각. 옛 밤에 통행금지 시간을 알리기 위하여 치는 큰 종을 설치한 집. 서울 보신각(普信閣). 경주 봉덕사 종 따위.
l 보루각(報漏閣) : 누각(漏刻)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관아. 경북궁과 창덕궁 안에 있었음. 누국(漏局).

한국 건축 용어 2
1. 건물 ▪ 정자명
l 루(樓) : ①높게 놓은 마루. →누마루. ②마루널을 깐 2층집. 다락집. 누각(樓閣).
l 누각(樓閣) : 지상 2층으로 지은 집. 누옥. 충루.
l 누옥(樓屋) : 지상 2층으로 지은 집. →층루(層樓). 누각.
l 층루(層樓) : 2층 또는 여러 층으로 지은 집. 누다락집. 누옥. 누각(樓閣).
l 고루(高樓) : 높은 대 위에 높게 지은 집. 고루거각(高樓巨閣).
l 고당(高堂) : 높게지은 집. →고루.
l 고각(高閣) : 높게 지은 큰 집. 고루대각(高樓大閣).
l 고설각(高設閣) : ①보통 집보다 높게 지은 집. ②건물의 정면 중앙 간을 높게 꾸민 집. 솟을 집.
l 고주집(高柱家) : 집채의 일부에 평주(平柱)보다 높은 기둥을 써서 꾸민 집.
l 누다락 : 다락집의 위층.
l 다락집 : 마룻바닥이 지면보다 높게 되거나, 2층처럼 지은 집. 누다락. 누각(樓閣).
l 시렁집 : 다락집.
l 망루(望樓) : ①외부 침입자의 동태를 살펴 망을 보는 다락. 망대. ②경계 밖의 상황을 살피며 지키기 위하여 높이 세운 누다락.
l 망대탑(望臺塔) : 침입자의 동정을 망보는 탑. 망루.
l 수루 : 적군의 동정을 망보는 성내의 누각. 위루(衛樓).
l 수문루(水門樓) : 수문 위에 세운 누다락. 수문을 개폐하는 장치를 하거나 수위 ▪ 유수 상황을 살피는 데 쓰임.
l 패루(牌樓) : 중국의 기념적 장식문.
l 정자(亭子) : 산수의 경치 좋은 곳에 유연하기 위하여 세운 작은 집. 정사(亭謝). 정각(亭閣).
l 사모정(四角亭) : 평면이 정사각형으로 된 정자. 지붕의 물 흐름 면은 4면으로 됨. 사각정.
l 육모정(六角亭) : 평면이 정육각형으로 된 정자. 지붕의 물 흐름 면은 6면으로 됨. 육각정.
l 육우정(六隅亭) : 육모정. 육각정(六角亭).
l 팔모정(八角亭) : 건물의 평면이 정팔각형으로 된 정자. 지붕 낙 수면은 8면으로 됨. 팔각정.
l 팔우정(八隅亭) : 팔모정.
l 팔각정(八角亭) : 팔모정.
l 모정(茅亭) : 짚▪부들▪억새 같은 것으로 지붕을 이은 정자. 모즙정(茅葺亭).
l 초정(草亭) : 지붕을 볏짚이나 가래 등으로 이은 정자.
l 사정(射亭) : ①활터에 세운 정자. ②정자(亭子).
l 정사(亭謝) : 정원의 노는 터에 만든 조그마한 정자. 정각(亭閣).
l 선자정(扇子亭) : 평면의 모양을 부채꼴로 지은 정자.
l 층사(層謝) : 사방을 전망할 수 있게 높게 만든 대. 또는 정자.
l 누정(樓亭) : 1층 마루를 높게 꾸미거나 2층으로 된 정자.
l 누대(樓臺) : ①누각과 대사(臺謝). ②높은 대 위에 높이 세운 누각(樓閣). ③높은 대 위에 다락으로 꾸며 적의 동정을 살피는 곳.
l 대사(臺謝) : 누각이나 정자가 크고 높은 것.
l 산막(山幕) : 사냥•등산 또는 약을 캐는 사람이 쓰려고 산속에 임시로 지어 놓은 간단한 집.
l 산장(山莊) : 산 속에 지어 놓은 별장.
l 산정(山亭) : 높은 산 위에 세운 정자.
l 수정(水亭) : 물가 또는 수중에 세운 정자. 수사(水謝). 강정(江亭). 지각(池閣).
l 수루 : 물가나 물 위에 세운 누각.
l 연당(蓮堂) : 연못가 또는 그 수중에 세운 정자. 연정(蓮亭).
l 천정(泉亭) : 샘터에 세운 정자.
l 수각(水閣) : 설거지, 빨래 등 물을 사용하며 일하는 집. 우물 또는 수도 기타 급수장치가 있음.
l 우물집 : 우물 위에 네 기둥이나 두 기둥을 세우고 지붕만을 덮은 집. 수각(水閣).
l 할터 : 궁술(弓術) 경기를 하는 곳. 높은 대 위에 사정(射亭)을 짓고 맞은 편에 과녁을 세움. 쏘는 거리는 147m, 과녁의 높이는 2.66m(8척 8촌), 폭은 2m(6척 6촌)임.
l 과녁(貫革) : ①조선시대 무과 시취(試取)종목의 하나. 150보 (약 176.7m)밖에서 활을 쏨. 표적은 장 3.27m(10.8). 광 2.51m(8.3)이며,과녁의 장광은 각기 표적의 1/3임. ②궁술(弓術) 경기에서 활을 쏘는 표적(標的). 높이 2.66m(8.8), 너비 2m(6.6)에 원형을 3겹으로 그림. 관혁. 과녁의 관 바깥 부분을 변(邊)이라 하며, 3중원으로 된 부분을 원(院)이라 하고, 각기 내원(內院), 중원(中院), 외원(外院)이라 칭함.
l 관혁(貫革) : 과녁의 원말.
l 소포(小布) : 무명 등으로 만든 과녁. 솔.
l 등대(燈臺) : 바닷가▪섬▪방파제 등에 세워서 밤중에 등불을 켜서 항로를 표시하는 탑모양의 건물. 꼭대기에 만든 광실(光室)에서 불을 비춤. 광탑(光塔).

 

 

한국 건축 용어 3
1. 공공건물명
l 마바리집 : 마구간의 설비를 갖춘 주막집.
l 곳집 : ①물건이나 화물 등을 넣어 두는 집. 창고(倉庫). ②상여집.
l 사고(史庫) : 조선조 때 나라 사기와 중요한 서적을 수장하여 두던곳. 강화 마니산▪무주 적상산▪봉화 태백산▪강릉 오대산에 있었음.
l 고사(庫舍) : 곳집. 창고.
l 창고(倉庫) : 물건을 보관▪저장하는 건물. 곳집.
l 군창(軍倉) : 군수품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던 옛 성의 창고.
l 부경(浮京) : 고구려 부족국가 시대에 지배계급의 각 집에 있던 작은 창고. 곡시. 찬거리, 소금 등을 저장하였음.
l 사창(社倉) : 각 고을에서 백성에게 꾸어 주는 쌀을 간직하던 곳집.
l 공랑(公廊) : 서울 종로 양쪽에 있던 정부에 용달을 하던 가게.
l 저자 : ①장이나 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가게. ②아침 저녁으로 반찬거리를 매매하기 위하여 열리는 장. ③시장(市場). 장(場).
l 수직청(守直廳) : 파수보고 수직하는 청사(廳舍).
l 수청(守廳) : 청지기가 거처하는 집. 수청방(守靑房). 수복청(守僕廳).
l 하인청(下人廳) : 관청이나 양반의 집에 있는 하인들이 기거하는 방, 또는 집채. 수복청.
l 주사 : 밥을 짓거나 음식을 만드는 집. 또 그 일을 맡아 보는 사람이 거처하는 집.
l 익랑(翼廊) : 대문채의 좌우편에 잇대어 지은 행랑.
l 익사(翼舍) : 주건물의 좌우에 붙여서 한 집채로 지은 부속 건물.
l 달개집 : ①원채의 처마 끝에 지붕을 덧달아 이어 내린 집. ②몸채의 뒤편 한쪽 구석에 낮게 이어 꾸민 외양간.
l 의짓간 : 몸채에 붙여서 지붕을 달아내려 꾸민 집.
l 날개집 : 주건물의 좌우에 붙여서 한 집채로 지은 곁채. 주건물이 중앙부에 있고 좌우에 부속사를 배치한 것. 익사. 익당(翼堂).
l 무(蕪) : 전각 주위에 세운 행랑.
l 무랑(蕪廊) : 전각 주위에 있는 부속건물. 행랑. 무사(蕪舍).
l 전무(殿蕪) : 문묘의 전과 무랑. 대성전과 동서무(東西蕪).
l 상방(箱房) : 행각(行閣).
l 서상(西廂) : 집의 서쪽채. 서쪽 행랑.
l 서상방(西上房) : 남향한 대청의 서쪽에 안방이 있는 집.
l 동상방(東上房) : 남향 대청의 동쪽에 안방이 있게 꾸민 집.
l 부섭집 : 주건물에서 달아 낸 집.
l 행각(行閣) : 궁궐 또는 공공 건축물의 정전 주위에 둘러 지은 집. 상방. 월랑(月廊). 행랑(行廊).
l 행랑(行廊) : ①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②대문의 양쪽에 벌려 있어 하인들이 거처하는 집채. 안채▪사랑채 등의 주건물 주위에 둘러세운 집채. 낭하(廊下), 월랑(月廊), 줄행랑(長行廊).
l 월랑(月廊) : ①행각, 행랑. ②정사각의 제각 앞에 내달은 2간. =배위청.
l 주랑(周廊) : 건물의 주위에 둘러세운 행랑. 줄행랑.
l 회랑(廻廊) : ①정당(正堂)의 좌우에 있는 긴 집채. 통행 또는 부속실로 쓰임. ②양옥(洋屋)의 주실 둘레에 있는 마루. ③갤러리. ④유럽 중세의 종교 건축에서 안뜰에 콜로네이드 또는 아케이드가 둘리어 있는 복도.

l 줄행랑(一行廊) : 대문 좌우로 죽 벌여 지은 행랑. 장랑(長廊).
l 장랑(長廊) : 줄행랑.
l 천랑(穿廊) : ①사묘(祀廟)▪향교▪서원▪문묘 등에서, 사당(祀堂)▪대성전(大成殿)에 통하는 지면보다 한 단 높게 만든 길. 보통 중앙로는 ?고, 좌우 또는 우측에 협로(夾路)을 두되 중앙로 보다 좁고 낮게 함. 보랑(步廊). ②전각과 전각을 연결하는 복도각.
l 보랑(步廊) : 사당 삼문에서 사당으로 통하는 지면보다 한단 높게 만든 길. 천랑(穿廊).

2. 주택명
l 가(家) : ①사람이 거처하는 집. 집 가(家). ②어떤 방면의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건축가
l 옥(屋) : ①→집. ②음식점이나 상점의 상호에 붙여진 건물명.
l 제택(第宅) : 살림집이나 이에 딸린 정자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l 잠저(潛邸) : 창업의 임금이나 종실에서 들어온 임금이 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 또 그동안, 잠룡(潛龍).
l 고택(故宅) : ①지은 지 오래된 집(古宅). ②고인(故人)이 예전에 살던 집. 구택(舊宅).
l 대가집(大家) : 높은 지위에 있던 사람이 살던 큰 집.
l 민가(民家) : 일반 사람이 사는 집.
l 사가(私家) : 민가. 여염집.
l 여염집(閭閻家) : 보통 사람이 사는 집. 살림집.
l 연마루집 : 여러 가구가 사는 주택으로서 지붕이 잇달아 있는 집. →연립주택. 공동주택.
l 남향집(南向家) : 남쪽을 정면으로 하여 지은 집. ↔북향집(北向家).
l 북향집(北向家) : 거실, 응접실 등 주요한 거처실이 북쪽으로 향하거나, 정면이 북쪽으로 향한 주택.
l 동향집(東向家) : 건물의 정면▪안채 또는 주요한 거처실이 동향이거나, 대문을 동햐하여 낸 집.
l 서향집(西向家) : 건물의 정면이나 안채 또는 주요한 거처실이 서향이거나, 대문을 서향하여 낸 집.
l 막다른집 : 골목 안의 끝쪽에 위치한 집. 골목안집.
l 안채 : 한국 주택에서 가장 안쪽에 자리하며 주로 부인들이 기거하는 방이 있는 집채. 몸채. 내당.
l 내당(內堂) : ①안방이 있는 집채. 내사(內舍). ②안방. 내실.
l 몸채(正堂) : 한국 주택에서 안쪽에 자리하는 가장 중요한 집채. 본채. 안채. 정당.
l 행랑채(行廊舍) : 주택에서 대문간의 좌우, 또는 그 앞에 둘러 세운 부속 집채.
l 중채 : 안채와 사랑채(바깥채) 사이에 있는 집채.
l 사랑채 : 주택에서 가장 앞 쪽에 자리하며, 바깥주인이 주로 거처하는 방이 있는 집채. 보통 안채와 바깥 행랑채 사이에 둠. 사랑부엌▪툇마루▪누마루▪대문간▪헛간 등이 달림.
l 뒤채(後堂) : 주 건물 뒤에 있는 집채. 정당 뒤에 있는 별당. 후당.
l 후당(後堂) : 뒤채.
l 별당(別堂) : 몸채에서 떨어져 따로 지은 집으로, 거처하는 방이 있는 집채.
l 퇴설당(堆雪堂) : ①몸채에서 떨어져 따로 지은 집. 별당(別堂). ②불 주지가 거주하는 별채.
l 별장(別莊) : 경치좋은 곳 또는 시골에 따로 마련하여 휴양을 하는 집. 여름철의 피서▪겨울철의 휴식을 위하여 쓰이며, 일상생활에서 벗어나서 가끔 지내는 집. 별저(別邸).
l 별서(別墅) : 들 같은 한적한 곳에 지은 집. 별장과 비슷하나 농사도 지으며 사는 집.
l 농막(農幕) : 농사짓기에 편리하도록 논밭 근처에 간단히 지은 초가집.
l 막살이(집) : 조그마하게 지은 농가. 막세리(평북방언). 막집(幕屋). 초옥(草屋).
l 막세리 : ①향랑채. ②농부가 거주하는 작은 초가(평북방언). 막살이집.
l 일자집(一字家) : 지붕마루가 일자형으로 되거나, 평면이 일자형으로 된 집.
l ㄱ자집(ㄱ字家) : ①건물의 평면이 ㄱ자형으로 된 집. ②지붕 용마루가 ㄱ자형으로 꺾인 모양으로 된 집.
l ㄷ자집(ㄷ字家) : 지붕용마루가 ewkgud으로 된 집. 건물의 평면이 ewkgud으로 배치되고 한가운데가 마당으로 된 가옥.
l 을자집(乙字家) : 건물 평면이 을(乙)자형으로 된 집.
l ㅁ자집(ㅁ字家) : 건축물의 평면이 awkgud으로 되거나, 지붕 용마루가 awkgud으로 된 집.
l 정자집(丁字家) : 지붕 용마루가 丁자형으로 된 집. 정자각(丁字閣).
l 고패집 : ㄱ자집의 방언. 맞고패집은 ㅁ자집의 방언.
l 뙈새집 : 안마당이 아주 작게 된 ㅁ자집(방언).
l 호두각집 : ①평면이 T자형으로 정당에서 내민 합각 또는 박공측에 출입문을 둔 집. 정당에서 앞으로 내민 집채. ②의금부에서 죄인을 심문하던 집.
l 공자집(工字閣) : 건물의 평면이나 지붕용마루가 공자형(工字形)으로 된 집.
l 십자집(十字閣) : ①건물 평면이 十자형으로 된 집. ②지붕의 용마루가 十가형으로 된 집.
l 네모집 : 평면이 정사각형이고, 지붕의 내림마루가 지붕 꼭대기에서 한데 모이게 된 집.
l 육모집 : 지붕이 육각으로 된 집.
l 다각집 : 추녀 마루가 여러 개로써 평면이 미자형(米字形) 등의 다각으로 된 집.
l 툇집 : 전면▪후면 또는 전후면에 됫기둥을 세우고, 원채에 붙여서 지은 집. ↔겹집.
l 겹집 : 건물의 평면에서 전후에 여러실이 맞붙어 배치된 집. 양통집(兩通家).
l 양통집(兩通家) : 겹집.
l 흩집 : 전후에 방을 들이지 않고 방이 한 줄로만 연결 배열된 집. 한 줄로 된 방의 앞 또는 전후에 되를 댄 것도 흩집 계통임. ↔겹집.
l 기와집 : 지붕을 기와로 이은 집.
l 돌기와집 : 얇은 판석으로 지붕을 덮은 집. 너새집. 너와집.
l 너와집 : ①얇은 돌판으로 지붕을 이은 집. 너홰집. 돌기와집. ②나무토박을 쪼개어 만든 널빤지로 지붕을 이은 집. 널기와집.
l 너홰집 : 너와집.
l 널기와집 : 통나무를 45~60cm 길이로 자르고, 도끼로 쪼개어 만든 널로 지붕을 이은 집. 너와집.
l 굴피집 : 나무 껍질로 지붕을 덮은 집.
l 초가(草家) : ①볏짚이나 풀로 지붕을 이은 막집. ②절 근방에 있는 중이 사는 집.
l 띳집(茅屋) : 지붕을 디(부들,억새,갈대 등)로 이은 집. 모옥.
l 뜸집 : 지붕을 띠나 부들 등으로 이은 초막. ↔띳집.
l 여막(廬幕) : 상재가 거처하고자 무덤 근처에 지은 초가.
l 초당(草堂) : 집의 원채 밖에 억새나 짚 등으로 지붕을 이은 작은 집채.
l 방틀집 : 통나무 또는 죽각재를 가로 포개 쌓아올리고 모서리는 우물방틀 모양으로 짜서 벽체를 꾸민 집. 귀틀집.
l 귀틀집 : 통나무 또는 죽각재를 가로 포개어 쌓아올려서 벽체를 꾸민 집. 모서리▪교차부는 서로 아래 위를 따서 물림. 방틀집.
l 투망집 : 귀틀집의 딴이름(방언). 투막집.
l 도투마리집 : 귀틀집의 방언.
l 까치구멍집 : 토담집이나 귀틀집의 용마루 좌우 끝 쪽 작은 합각머리에 구멍을 낸 집. 고콜연기 배출구 또는 환기용으로 냄.
l 토담집 : 벽을 흙벽돌로 쌓거나 거푸집 속에 이긴 흙을 다져 넣어 말리고 그 위에 지붕을 덮어 지은 집.
l 토벽집(土壁屋) : ①벽에 외를 엮고 이긴 흙을 발라서 꾸민 집. ②토담집.
l 토막집(土幕屋) : 움집. 움막.
l 오두막집 : 아주 작게 지은 집. 벽에 흙을 바르거나, 토담집 처럼 꾸밈.
l 궁려(穹廬) : ①허슬하게 지은 집. 등근 지붕의 이동식 주거. ②가난한 집.
l 까대기 : 건물이나 담 따위에 의지하여 임시로 만든 허술한 구조물.
l 고미집 : 지붕 밑에 고미반자를 꾸미거나 고미다락을 만든 집.
l 막사(幕舍) : 판자나 천막 등으로 지은 임시 사용으로 하는 집. 막옥(幕屋)
l 움집 : 땅을 파고 짚이나 거적으로 위를 덮어 비바람이나 추위를 막게 지은 집. 사람이 기거함. 토막(土幕).
l 깊은사랑 : 바깥 어른들이 겨울철에 모여서 환담하거나 작업을 하는 움집.
l 움막 : 땅을 파고 거적으로 위를 덮어 비바람이나 추위를 막게 지은 집. 토막집(土幕)
l 땅광 : 들이나 집채 아래 땅을 파서 만든 창고. 움광.
l 혈거(穴居) : 땅에 구멍을 파거나 동굴 속에 살던 원시인의 주거.
l 수혈주거(竪穴住居) : 수직으로 땅을 파서 위를 가리고 살던 움막집.

   

한국 건축 용어 4
1. 묘사 ▪서원명
l 묘(廟) : ①조상이나 성현(聖賢)의 위패를 모셔 두고 제향(祭享)하는 집. 사당(祠堂), 가묘(家廟). ②종묘와 문묘. 묘사(廟社).
l 종묘(宗廟) : 왕조(王朝) 국가에서 역대 제왕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祠堂). 태묘(太廟).
l 태묘(太廟) : 임금 제후의 시조의 사당. 종묘(宗廟).
l 세실(世室) : 종묘(宗廟)의 신위를 모신 사당.
l 묘사(廟祠) : ①제왕(帝王) 또는 성현(聖賢)의 신위(神位)을 안치하고 제사지내는 집. 묘우(廟宇). ②종묘(宗廟)와 사직(社稷).
l 묘당(廟堂) : ①종묘(宗廟)와 명당(明堂). ②조선 왕조때의 조정(朝廷) 기구의 하나인 의정부(議政府)의 딴 이름.
l 묘우(廟宇) : 시주를 모신 집. 묘당. 사우(祠宇).
l 가묘(家廟) : 사싯집의 사당(祠堂).
l 사당(祠堂) : 신주(神主), 곧 죽은 사람의 위패를 모셔 두고 제향하는 집. 가묘(家廟). 사우(祠宇).
l 사우(祠宇) : 사당.
l 서낭당 : ①서낭신이 깃들어 있다는 나무. ②서낭신을 모신 사당. 성황당. 서낭신은 원래 도성을 지켜 주는 신이었으나 토속신으로 화하여 마을의 수호신으로 됨.
l 별묘(別廟) : 따로 지은 사당.
l 정각(旌閣) : 정문(旌門)을 걸어 두기 위하여 따로 지은 집.
l 정자각(丁字閣) : ①평면이 T자형으로 된 집. ②지붕 용마루가 T자형으로 된 집. ③능묘의 제실▪제각으로 쓰이는 T자형 평면의 집.
l 제각(祭閣) : 무덤 근처에 제청 소용으로 쓰는 집. 정자각(丁字閣).
l 제청(祭廳) : ①장사때에 무덤 옆에 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마련한 곳. ②제사를 지내기 위하여 마련한 대청. 제실.
l 제실(祭室) : 신위▪신령에게 음식을 차리어 예절하는 방.
l 전사청(典祀廳) : ①제향의 물건을 맡아 보던 궁내부의 관아. ②문묘▪서원▪향교 등에서 제향의 물건을 맡아 보는 집채.
l 향사청(享祀廳) : 제사를 지내는 마루청. 사당(祠堂).
l 제기고 : 제사때에 쓰는 그릇▪기물▪기구 등을 ?어 두는 창고.
l 재실(齋室) : ①능▪묘 등의 제사지내는 집. 재전(齋殿). 재가(齋家). 재각(齋閣). ②문묘에서 유생들이 공부하는 집. ③사당 옆에 지어 제사지낼 때에 쓰이는 집.
l 재전(齋殿) : 재실(齋室).
l 묘막(墓幕) : 산소 가까이에 지어 산소를 돌보는 데 쓰이는 집.
l 사당방(祠堂房) : 신위를 모셔 두는 방.
l 사당간(祠堂間) : 한국 주택에서 조상의 신위(神位)을 모셔 둔 방. 제사를 지내기도 함. 사당방.
l 위패당(位牌堂) : 위패를 모셔 둔 집. 사당(祠堂).
l 문묘(文廟) : 성현(聖賢)▪공자(孔子)을 모신 사당(祠堂).
l 성균관(成均館) : 유교의 교육을 맡아 보던 기관. 경학원(經學院). 태학(太學). 서울 명륜동 문묘내에 설치되었음.
l 대성전(大成殿) : 문묘 안에 공자나 대현(大賢). 유현(濡賢)의 위패를 동서무에 모시고 제사지냄. 또 유생들이 공부하며 유숙하던 집.
l 서무(西蕪) : 문묘에서 유현들을 배향하는 서행각(西行閣). 대성전의 서쪽 아래채.
l 동재(東齋) : 성균관이나 향교의 명륜당 앞 동쪽에 있는 집. 유생(儒生)들이 거처하며 글공부하던 곳.
l 서재(西齋) : 성균관▪향교의 명륜당 앞 서쪽에 있는 아래채. 유생들이 거처하며 글공부하던 곳.
l 영당(影堂) : 화상을 안치한 당우(堂宇).
l 서원(書院) : ①중국에서 옛날에 강서(講書)▪강학(講學) 하던 곳. ②실학(實學)에 뜻하는 사람을 가르치는 사숙. 송나라때 사대서원이 유명함. ③이조때 선비들이 모여 학문을 강론하고 석학(碩學) 또는 출절로 죽은 사람을 제사하던 곳. 중종 38년(1543)에 풍기군수인 주세붕이 주자(朱子)의 백록동 서원을 본받아 고려의 명유(名儒) 안향이 전에 살던 영주군 순흥면에 세운 백운동 서원 곧 소수서원이 유명함.
l 향교(鄕校) : 옛 선현(先賢)을 봉사(奉祀)하고 교육을 위하여 공립(公立)으로 지은 학교.
l 학당(學堂) : ①고려말에 있었던 학교. 중앙 각부에 두고 공자묘(孔子廟)는 없었다. ②1880년대 이후 개화기에 사숙으로 글공부를 가르치는 집.
l 글방(書堂) : 사가에서 아동들에게 글공부를 가르치는 집. 서당.
l 서당(書堂) : 글방.
l 전묘후학배치(前廟後學配置) : 문묘▪서원▪향교 등의 각 건물의 배치법. 앞(남)쪽에 묘당을 배치하고, 뒤(북)쪽에 학업용 건물을 배치함.
l 재사(齋舍) : 기숙사. 문묘▪서원▪향교에서 자제들이 기거하며 공부하던 집채.
l 정사(精舍) : ①학문을 가르치려고 세운 집. ②정신을 수양하는 곳. ③불도를 닦는 중이 있는 집. 서원의 딴이름. 고대 인도에서의 불사.
l 문선왕묘(文宣王廟) : 중국 성현 공자를 흠모하여 제사지내는 사당.
l 신당(神堂) : 신령을 모시고 제사지내는 집. 부근당(附根堂). 신주를 모신집.
l 칠성각(七星閣) : 불교에서 칠원성군(七元聖君)을 예불의 대상으로 모신 집. 칠성전(七星殿)▪칠성당(七星堂)▪칠성단. 칠성은 북두의 일곱성군을 말함.
l 삼성각(三星閣) : ①세 성인을 모신 집. ②우리나라 상고시대의 세 성인. 곧 환인(桓因)▪환웅(桓雄)▪환검(桓儉).
l 삼선각(三宣閣) : ①세 신선을 모신 집. ② →삼성각. 불교에서 외도(外道)의 수행자(修行者)로서 세속을 떠나 산속에서 여러 도의 법을 닦은 바라문의 현자를 모신 집.
l 삼신각(三神閣) : 삼신을 모시는 사우(祠宇). 삼신은 ①우리나라의 땅을 마련했다는 환인(桓因)▪환웅(桓雄)▪환검(桓儉)의 총칭. ②아이를 점지한다는 세 신령.
l 성신묘(城神廟) : 성을 지켜 주는 신을 모신 사당. 성신사(城神祠).
l 산신각(山神閣) : 산신을 모신 집. 산왕단(山王壇).
l 산신당(山神堂) : 산의 지신을 모신 사당. 산신각(山神閣). 산령각(山靈閣). 삼산오악신(三山五岳神).
l 도당(都堂) : ①시골 사람들이 그곳의 수호신을 모시고 제사하는 단(壇). ②무당이 신을 모신 곳.
l 삿집 : 무당이 신을 모신 집. 도당.


2. 사찰명
l 일탑식 가람(一塔式加藍) : 사찰내에 탑 하나를 배치한 절.
l 쌍탑식 가람(雙塔式加藍) : 사찰내에 동서방향에 두개의 탑을 둔 절.
l 무탑식 가람(無塔式加藍) : 탑이 없는 절.
l 산지가람(山地伽藍) : 산지에 세운 절.
l 평지가람(平地加藍) : 편평한 들판에 세운 절.
l 불사(佛寺) : ①절. 절간. ②불상을 모셔 놓고 불도 수행을 위하여 예불하거나 설법하는 전각(殿閣) 또는 중들이 거처하는 집. 사찰(寺刹). 불찰(佛刹). 범찰(梵刹). 사원(寺院). 산문(山門). 승사(僧舍). 불가(佛家).
l 불전(佛殿) : 불사. 불우(佛宇). 불당(佛堂).
l 불당(佛堂) : 불사.
l 불우(佛宇) : 불상을 모시고 예불하거나 설법하는 전당(殿堂). 불당(佛堂).
l 범각(梵閣) : 불사.
l 초제(招提) : 관부(官府)에서 사액(賜額)한 절.
l 보찰(寶刹) : 절의 경칭(敬稱).
l 보전(寶殿) : ①부처를 안치하는 건물. 불전. 본전. 대웅보전. 극락보전. ②신전(神殿). ③금옥(金玉)을 새겨서 만든 전사(殿舍).
l 칠당 가람제(七堂 伽藍制) : 절에 있는 온갖 불당 등을 완비하여 세우는 재도.
l 칠당(七堂) : 절의 온갖 당우(堂宇). 삼문(三門)▪불전(佛殿)▪법당(法堂)▪승방(僧房) 등이 완비된 절.
l 대웅전(大雄殿) : 불사(佛寺)의 정전. 대법당(大法堂). 선종계(禪宗系)의 사원에서 본존 불상을 모신 불당.
l 대웅보전(大雄寶殿) : 대웅전.
l 상대웅전(上大雄殿) : 절의 한 경내에 두 법당을 지울 때 높은 곳에 지은 법당. ↔하대웅전(下大雄殿).
l 하대웅전(下大雄殿) : 절의 한 경재에 두 법당을 지울 때 낮은 곳에 지은 법당. ↔상대웅전(上大雄殿).
l 금당(金堂) : 불교 사찰에서 중심이 되는 법당(法堂). 대웅전. 석가상 등의 본존불을 안치함.
l 법당(法堂) : ①주불(主佛)을 안치한 사찰의 정당(正堂). 대웅전. 법전(法典). 불전(佛殿). ②설법당(設法堂)의 약칭.
l 법전(法典) : 대웅전. 불당(佛堂). 불전.
l 당탑(堂塔) : 불교의 건물과 탑파. 전당(殿堂)과 묘탑(墓塔).
l 선원(禪院) : ①불교 선종(禪宗)의 사원(寺院). ②좌선을 하는 방. 선방(禪房).
l 선당(禪堂) : ①절 안의 왼쪽에 있는 집. ②참선하는 처소. 선방(禪房).
l 선방(禪房) : 불교 선종에서 참선하는 방.
l 선실(禪室) : 좌선을 하는 방. 선방.
l 계법당(戒法堂) : 계단을 설치한 법당.
l 계단당(戒壇堂) : 승려가 계를 받는 단을 설치한 불당. 계단은 보통 돌로 쌓아 만들며 대승계단과 소승계단의 두 가지가 있음.
l 계단원(戒壇院) : 수계를 향하는 도량. 도량은 석가가 성도한 땅. 불도를 수업하는 곳. 좌선▪염불▪수계 등을 하는 방.
l 강원(講院) : ①절에서 포교▪설법을 하는 집. 불교에 관한 학문이나 불법을 강론함. ②불교에서 불학(佛學)을 닦은 사원(寺院). 설법당(設法堂).
l 화엄강당(華嚴講堂) : 만행(萬行)▪만덕(萬德)을 닦아서 덕과(德果)을 장엄하게 하는 것을 설론하는 집.
l 굴암(窟庵) : 바위를 파내어 만든 절.
l 석굴암(石窟庵) : ①경주 토함산에 있는 굴암. ②암석을 파내어 꾸민 절.
l 말사(末寺) : 절의 본산에 딸려 있는 작은 절. 산내말사(山內末寺). 산외말사(山外末寺). 직말사(直末寺).
l 본산(本山) : 불교에서 한 종파에 딸린 여러 절을 통할하는 절. 우리 나라에는 31본산을 일제때 (1911년) 정한 바 있음. 대본산(大本山).
l 선찰(禪刹) : 참선을 주장으로 하는 절. 선종의 절.
l 암자(庵子) : ①큰 절에 딸린 작은 절. ②중이 임시로 거처하며 도를 닦는 집. ③승려(僧侶)가 홀로 있는 아주 작은 집.
l 인법당(因法堂) : 불전이 없는 작은 절에서 중이 거처하는 방에 불상을 모신 집.
l 능사(陵寺) : 능을 지키기 위하여 세운 절.
l 능침사(陵寢寺) : 능을 지키도록 지은 절. 능사.
l 조포사(造泡寺) : 능이나 원에 딸려서 제향에 쓰는 두부를 맡아 만드는 절. (수원 용주사. 사도세자능에 있음.)
l 군막사찰(軍幕寺刹) : 승장(僧將)이 있고, 승병(僧兵)을 훈련하는 절.
l 사리(舍利) : ①범어로써, 부처나 고승의 유골. ②부처나 고승이 죽은 뒤에 화장하면 남는다는 구슬. ③송장을 화장하여 남은 뼈.
l 사리당(寺利堂) : 부처나 고승의 사리. 유골을 모셔둔 집. 사리.
l 사리각(寺利閣) : ①사리탑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위에 지은 집. 사리보호각. ②사리를 모셔 둔 집.
l 극락전(極樂殿) : 아미타여래상(阿彌陀如來像)을 안치한 불전(佛殿). ↔무량수전.
l 극락보전(極樂寶殿) : →극락전.
l 약사전(藥師殿) : 약사여래상(藥師如來像)을 안치한 불전.
l 능인전(能仁殿) : 금당. 대웅전. 고려때에 금당을 대웅전 또는 능인전이라 고쳐 부름.
l 응진전(應眞殿) : 아라한(阿羅漢)을 모신 . 불전(佛殿). →나한전.
l 명부전(冥府殿) : 지장보살을 주불로 하고 염마(閻魔)▪기타 시왕 제신(諸神)을 안치한 불전. →시왕전(十王殿). 지장전.
l 지장전(地藏殿) : 불교에서 지장보살(地藏菩薩)을 모신 불전(佛殿). →명부전▪ 시왕전(十王殿).
l 비로전(毘盧殿) : 불교에서 비로자나불(毘盧蔗那佛)을 모신 불전. →대적광전.
l 관음전(觀音殿) : 관음보살(觀音菩薩)을 안치(安置)한 불전. →원통전.
l 미륵전(彌勒殿) : 미륵보살(彌勒菩薩)을 모신 불전. →용화전.
l 나한전(羅漢殿) : 나한상을 안치한 불전(佛殿). →응진전.
l 천불전(千佛殿) : 불교에서 과거▪현재▪미래의 삼겁(三劫)에 가각 1,000의 부처가 나타난다는 신앙에서 1,000개의 불상 또는 수많은 불상을 모신 불전.
l 적멸궁(寂滅宮) : 불상을 모시지 아니한 법당. 부처님의 죽음 곧 열반(涅槃)을 상징하는 법당.
l 대적광전(大寂光殿) : 불교에서 세상의 번뇌를 끊고 적정(寂靜)의 진리에 의하여 발하는 진지(眞智)의 광명(光明). 또는 고요히 빛나는 마음을 갖게 하는 불전. 곧 부처가 보이는 세계를 이루는 당우(堂宇).
l 원통전(圓通殿) :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전. 원통대사(圓通大士)는 관세음보살의 별칭. →관음전.
l 원통보전(圓通寶殿) : 원통전.
l 광명전(光明殿) : ①불교에서 번뇌▪죄악의 암흑을 비추어 신앙상의 지견(智見)을 준다는 뜻으로 수신하는 불전. ②부처나 보살의 몸에서 비추는 빛이 있게 되는 것을 뜻하여 선불하는 불전.
l 대광명전(大光明殿) : 광명전.
l 윤장전(輪藏殿) : 윤장대를 설치한 법전. 불단 좌우에 2개를 설치함 (경북 예천 용문사 윤장전).
l 윤장대(輪藏臺) : 축을 세우고 8면으로 된 경가(經架)을 만들어서 일체경(一切經)을 넣어 자유로이 돌려 보는 책가(冊架).
l 대장전(大藏殿) : 불교 성전을 간직하는 불우(佛宇).
l 장경각(藏經閣) : 불교의 성전(聖典)을 넣어 두는 곳 집.
l 장경판고(藏經板庫) : 불교의 경판을 수장한 곳 집.
l 팔상전(捌相殿) : 석가 8상(八相)의 그림과 존상을 각각 나누어 모신 불전.
l 무설전(無設殿) : 경북 경주 불국사 경내에 있는 강당. 설법당.
l 반야전(盤若殿) : 대승 불교에서 모든 법의 진실상을 아는 지혜. 곧 이를 얻으면 성불 하므로 이를 얻은 이는 부처님이란 뜻으로 세운 불전.
l 무량수전 : 아미타불을 모신 법당. 무량수는 아미타불을 뜻함. →극락전.
l 보광전(普光殿) : 널리 광명을 놓아 십방(十方)을 두루 비친다는 뜻이 담긴 불전. 보광은 중국 당나라 스님으로 현장을 스님으로 하여 역경에 두각을 드러내고 현장이 번역한 경전을 필수하고 구사론기 30권을 지어 주석하여 구사종의 기초를 삼게 되었다고 함.
l 용화전(龍華殿) : 미륵이 56억 7천만 년 후에 세상에 나타나서 용화나무 밑에서 도(道)을 이루고 여기에 모여서 설법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미륵전.
l 영산전(靈山殿) :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영산회(靈山會)의 불보살을 노래한다는 뜻으로 지은 불전.
l 열반당(涅槃堂) : 승려가 임종할 때에 거처하는 집.
l 만세루(萬歲樓) : 불교에서 부처의 뜻은 만세를 밝힌다는 뜻에서 절의 누문(樓門)에 붙인 이름.
l 종각(鐘閣) : 큰 종을 달아 두는 누각. 종루.
l 종루(鍾樓) : 누다락으로 지은 종각.
l 범종루(梵鍾樓) : 절에 지은 종각. 범종각.
l 고루(鼓樓) : 북을 달아맨 다락집. 종루(鍾樓)와 같은 집.
l 고각(鼓閣) : 고루.
l 국사전(國師殿) : ①나라에서 국사로 추정된 불승이 세운 절. ②전남 순천 송광사의 법당.
l 조사당(祖師堂) : 조사(祖師)의 영정(影幀)을 모신 당우(堂宇). 각종파의 개조(開祖). 절을 창건한 사람. 역대의 주지 등의 영정▪위패를 모셔 두는 집.
l 조실(祖室) : 조사당.
l 개산조당(開山祖堂) : 조사당.절을 창설한 조사의 영정을 모신 당우.
l 영각(影閣) : 불교에서 고승(高僧)의 초상을 모신 집.
l 보제루(普濟樓) : 절의 출입문루에 붙인 이름.
l 고금당(古今堂) : 경북 안동 봉정사에 있는 승방의 이름.
l 심검당(尋劍堂) : 승방의 이름.
l 패엽실(貝葉室) : 불교에서 범어 pattra의 역어로 잎을 뜻한 데서 온 승방명. 패엽사(貝葉寺)는 황해 신천군에 있는 31본산의 하나.
l 세존비각(世尊碑閣) : 불교에서 석가세존(釋迦世尊)을 기념하는 비를 세운 보호각.
l 노전(爐殿) : 대웅전과 그 밖의 법당을 맡아 보는 임원의 숙소. 향각(香閣). 향로전(香爐殿). 응향각(凝香閣).
l 상로전(上爐殿) : 사원의 대웅전을 맡아 보는 중이 거처하는 저소. 상로는 불심이 돈독하고 예의 바른 승려를 임명함.
l 상지전(上知殿) : 대웅전을 맡아 보는 스님의 숙소.
l 노향각(爐香閣) : 노전(爐殿).
l 전향각(篆香閣) : 노전.
l 감로당(甘露堂) : 승방에 붙여진 이름.
l 동승방(東僧房) : 동쪽에 있는 절의 요사(寮舍).
l 동료서실(東寮西室) : 동쪽과 서쪽에 지은 승방.
l 채공소(菜拱所) : 채소나 과류 기타 부식품을 간직하는 집채.
l 곡류 : 쌀이나 기타 곡물을 간직하는 집채. 대채 마루를 높이 놓고, 벽은 두꺼운 널로 꾸미며 판문을 달아 잠그게 되었음.

   

한국 건축 용어 Ⅱ
1. 일반
l 실(室) : ①사람이 거처하거나 일을 하는 방. ②현대적 용도에 쓰이는 간.
l 청(廳) : ①마루를 깐 방. 마루방. ②크고 넓게 되어 사무를 보는 방. ③사무를 보는 기관. 관청 등.
l 방(房) : 상시 거처하는 간. 대개 주택에서 온돌을 꾸며 놓은 것을 말함. 온돌방.
l 간(間) : ①사방 네 기둥 또는 벽으로 둘러 싸인 공간. 방▪실▪청 따위. ②사방 네기둥오 둘러싸인 방의 면적을 헤아리는 단위. 칸. 8자 한칸. 6자 대청 등. ③곡척(曲尺) 6자의 길이를 단위로 하는 말. 1간 길이는 1.818m여가됨(일본에서 온 말).
l 거실(居室) : ①거주▪집무▪작업▪집회▪오락 기타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 ②주택에서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주로 쓰이는 방.
l 거처실(居處室) : 주택에서 사람이 향상 기거하는 방. 거실(居室).
l 안방 : ①한식 주택의 안채에 있어서 가장 넓고 주거의 근본이 되는 방. ②집의 안채에 부엌이 딸리고 주로 주부가 쓰는 온돌방. 내실.
l 내실(內室) : ①한식 주택의 안채에 있어서 주거의 근본이 되는 큰 방. ②집안채의 부엌이 붙은 방. ③주부가 쓰는 방.
l 정방(正房) : ①몸채의 안방 또는 대청. ②몸채. 정당(正堂). 내당(內堂).
l 큰방 : ①안채에 있는 주로 부인이 거처하는 넓은 방. 안방. ②절에서 여러 스님이 항시 기거하는 넓은 방. 대방.
l 대방 : 절에서 여러 스님들이 함께 거처하는 넓은 방. 큰방.
l 침실(寢室) : ①주로 잠자는 곳으로 쓰이는 방. ②침대를 설치하고 잠잘 때만 쓰는 사실(私室). 침방.
l 침방(寢房) : 잠자는 곳으로 쓰이는 방. 침실(寢室).
l 규방(閨房) : 안방. 도장방.
l 동방(洞房) : 잠자는 방. 침실(寢室). 침방(寢房).
l 화촉동방(華燭洞房) : 첫날 밤에 신랑신부가 자는 방. 신방.
l 녹당(綠堂) : 가난한 집의 여자의 방. 녹실(綠室).
l 도장방 : ①안방. 집안채의 부엌이 붙은 방. ②아낙네가 거처하는 방. 규방(閨房).
l 동온돌(東溫突) : ①대궐 안의 침전 동쪽에 있던 방. ②남향한 대청의 동쪽에 있는 온돌방.
l 서온돌(西溫突) : ①대궐 안의 침전 서쪽에 있는 방. ②남향집의 서쪽에 있는 방.
l 대청(大廳) : ①한식 건물에 있어서 바닥을 마루널로 꾸민 넓은 방. ②관청▪공공건물의 마루를 깐 큰 방. ③사사집의 몸채 가운데에 있는 마루.
l 대청마루 : →대청.
l 어간대청(御間大廳) : 방과 방 사이 중앙 어간에 있는 큰 마루 방.
l 육간대청(六間大廳) : 사가에서 여섯 간이나 되는 큰 대청. 보통 정면 3간. 측면 2간으로 함.
l 마루방(魔樓房) : ①바닥에 마루널을 깐 방.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마루를 깐 방. 대청마루. ②널을 깔아 놓은 방. 사방을 벽이나 창문으로 막아 놓은 간.
l 어간마루 : 방과 방 사이에 있는 마루방.
l 건넛방 : 한식주택의 안방에서 대청의 건너편에 있는 온돌방. 건넌방. 월방.
l 건넌방 : 한식 주택 안방에서 대청의 건너편에 있는 온돌방. 몸채에서 안방 다음으로 주요하게 쓰이는 방. 월방. 건넛방.
l 월방(越房) : 건넌방.
l 아동실(兒童室) : 아이들이 거처하는 방.
l 구석건넌방 : 건넌방 뒤에 마루가 있고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방.
l 아랫방(下房) : 샛장지 등으로 막은 방 두 간이 연달아 있을 때 불목에 가까운 쪽에 있는 방. ↔웃방.
l 아랫간(下間) :아랫방.
l 똘아랫방 : 몸채 아래 안마당 쪽에 있는 방.
l 웃방(上房) : 샛장지 등으로 막은 방 두 간의 연달아 있을 때 불목에서 먼 쪽에 있는 온돌방. ↔아랫방.
l 웃간(上間) :웃방.
l 바깥방 : 바깥 채에 딸린 방.
l 행랑방(行廊房) : ①대문의 양쪽 또는 문간 옆에 있는 방. ②행랑채에 있는 방.
l 함실방(函室房) : 부엌이 없이 방의 구들안에 불을 때게 된 온돌방.
l 온돌방(溫突房) : 방바닥 밑에 구들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놓아 불을 때어 난방하게 꾸민 방. 구들방.
l 구들방 : 구들장을 놓아 불을 때어 난방할 수 있게 만든 방. 온돌방.
l 장판방(壯版房) : 구들을 놓고 그 위 방바닥에 기름먹인 장판지로 바른 방.
l 지대방 : 절의 큰 방의 머리께에 있는 작은 방. 이부자리▪옷 또는 행장 등을 넣어 둠.
l 탕방(一房) :방고래를 장대석으로 놓고 그 위에 굄돌을 써서 넓고 큰 구들장을 놓아 만든 방.
l 욱실 : 구들을 놓아 몹시 더운 방.
l 가방(假房) : 겨울에 외풍을 적게 하려고 길거나 큰 방 안에 장지를 들이어 막은 아랫방. 흔히 이중천장도 꾸미며, 여름에는 장지와 이중천장은 떼어 내기도 함. 방옥(房屋).
l 현관(玄關) : 건축물에 들어가는 문간. 주현관(정문간). 안현관(內玄關). 현문(玄門).
l 문간(門間) : 출입하는 문이 있는 곳. 현관. 대문간.
l 대문간(大門間) : 대문이 달린 간.
l 정문간(正門間) : 한 건물에서 정면에 있는 가장 중요한 문간. 바깥 사랑채에 있으므로 밖문간의 뜻으로 쓰이기도 함.
l 밖문간(外門間) : 주택의 바깥쪽 또는 바깥채에 있는 대문간. 바깥대문간. ↔안대문. 안문간.
l 안문간(內門間) : ①밖문간의 안쪽에 있는 문간. ②안채에 달린 문간.
l 문간마루 : 주택에 있는 방. 행랑채의 대문간 옆에 붙은 방.
l 서사실(書士室) : 서사가 기거하거나 사무를 보는 방.
l 사처방 : 윗사람이나 점잖은 손님이 묵고 있는 방. 하처방(下處房).
l 손창방(一房) : 몸채에서 떨어져 있는 방.
l 서재(書齋) : 주택 등에서 도서를 갖추어 두고 독서▪시▪문학 또는 학문 연구 활동을 하는 방.
l 사랑방(舍廊房) : ①사랑채(몸채와 떨어져서 지은 채)의 으뜸 되는 방. ②바깥주인이 거처하는 방. 남자 손님의 응접▪시서(詩書)▪. 업무▪글방 등의 용도에 쓰임.
l 큰사랑(大舍廊) : 한 대지 내의 주택에서 둘 이상의 사랑방을 꾸몄을 때 바깥편에 있는 제일 큰 방. ↔중사랑. 작은 사랑.
l 작은사랑(小舍廊) : 자질(子姪)이 쓰는 사랑. 소사랑.
l 바깥사랑(外舍廊) : 한 대지 내에서 건물의 바깥편에 있는 사랑방. 제일 큰 방으로 하므로 큰사랑방이 함.
l 안사랑(內舍廊) : 바깥사랑 안쪽에 위치한 사랑. 중사랑(中舍廊) ↔바깥사랑(外舍廊). 큰사랑방.
l 응접실(應接室) : 손님을 맞이하여 접대하는 방.
l 손님방 : 손님을 맞아서 접대하거나, 손님이 유숙하는 데 쓰이는 방.
l 객실(客室) : ①손님방. ②여관▪호텔 등에서 손님이 묵는 방.
l 객청(客廳) : ①제사때 손님이 거처하도록 만든 대청이나 방. ②손님을 모시고 숙시케 하는 방. 손님방. 또는 그 집채.
l 봉놋방 : 주막집 대문 가까이 있는 여러 사람이 합숙하는 큰 방. 주막방.
l 배방(陪房) : 하인들이 거처하는 방.
l 봉당 : 헛간▪퇴간(退間) 등에 마루나 온돌을 놓지 아니하고 바닥흙 그대로 다지거나, 강회 백토 반죽 다짐으로 한 바닥. 토방(土房).
l 토방(土房) : 바닥에 마루널을 깔지 아니하고 흙다짐으로 한 방. 봉당.
l 토마루 : 마루널을 쓰지 않고 흙바닥으로 된 방. 토방(土房).
l 뜰방(一房) : 토방. 뜰방(충청 방언).
l 웃목 : 방구들의 불아궁이에서 가장 먼 쪽.
l 아랫목 : 방구들의 불아궁이 쪽, 가장 따스하고 상좌로 치는 곳.
l 상판 : 절의 큰방의 웃목. 오고가는 손님들이 들어 앉음. ↔하판.
l 목외(木外) : 사랑방의 아래 웃칸을 막아 놓은 웃칸. 아래칸에 주인이 좌정하고 손님이 웃칸에서 들어와 인사함.
l 부엌 : ①음식을 만드는 곳. 주방. 숙수간(熟手間). ②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곳. 과방(果房).
l 주방 : 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곳. 부엌.
l 내주방 : 궁궐 또는 대가집에서 대비▪중전의 수라 또는 웃어른의 음식을 마련하는 곳.
l 정지 : ①부엌(방). ②정주간.
l 정주간 : 부뚜막 안쪽에 벽이 없이 온돌을 꾸미어 방바닥을 곁들인 부엌.
l 바당간(一間) : 부엌(함경 방언).
l 헛간부엌 : ①헛간에 임시로 부뚜막을 꾸민 부엌. ②방에 붙은 헛간에 부뚜막을 설치한 것.
l 한뎃부엌 : 한대에 간단히 따로 솥을 걸고 쓰는 부엌.
l 반빗간 : 반찬을 만드는 간.
l 숙수간(熟手間) : 잔치 또는 제사 때에 음식 만드는 간. 숙설간(熟設間). 숙수방(熟手房).
l 숙설간(熟設間) : 잔치때 음식을 만드는 방.
l 숙설청(熟設廳) : 나라의 잔치때에 음식을 만드는 곳.
l 배선실(配膳室) : 배선대▪식기장 등을 설비하고, 여러 밥상을 차리거나 음식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
l 찬간(饌間) : 반찬을 만들거나 보관하여 두는 방. 찬마루. 찬방.
l 찬방(饌房) : 반찬을 만들거나 반찬거리 또는 만든 반찬을 넣어 두는 방. 찬간.
l 찬마루 : 찬간.
l 찬광 : 반찬거리를 넣어 두는 광.
l 식기실(食器室) : 식기를 넣어 두는 간. 기명실.
l 보자실(褓子室) : 침대 시트▪식탁보▪커튼 따위를 간직하는 방.
l 과방(果房) : ①숙설간. ②잔치때에 장만한 음식을 그릇에 담아 보내는 간. 대개 부엌 다락 위에 임시로 두고, 다락창 넌출로 음식을 내보냄.
l 어간(御間) : ①건물의 중안간. 정간(正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되어 있을 때 그 중앙에 있는 간. 대개 가장 넓은 간으로 꾸밈. 중앙간.
l 정간(正間) : 건물의 중앙에 있는 간. 어간(御間).
l 협간(夾間) : ①어간(御間)의 양측에 있는 주간(柱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된 건물에서 중앙간 다음에 있는 간. 대개 중앙간 보다 작게 함.
l 협실(夾室) : 안방 또는 주실. 작은 방. 협방.
l 협방(夾房) : ①주실에 딸린 작은 방. ②작게 꾸민 방.
l 박은방(小房) : 좁은 한 간의 방. 소방.
l 골방 : 안방 또는 사랑방 따위에 딸린 작은 부속실. 안방 골방 등.
l 머릿방(一房) : 안방 뒤나 옆에 붙어 있는 작은 방. 골방.
l 샛방(間房) : 중요한 두 방 사이에 있는 작은 방.
l 곁방 : 주실의 옆에 딸리어 있는 작은 방.
l 모방 : 방의 한구석에 딸린 작은 부속실.
l 뒷방 : ①주요한 방의 뒤에 딸린 작은 방. 후간. ②뒤쪽에 있는 방.
l 후간(後間) : ①뒷방. ②방의 뒤쪽에 있어 반침으로 쓰이는 작은 간.
l 세간방 : 세간살이를 넣어 두는 방. 골방. 넓은 반침 따위.
l 반침(半寢) : ①큰방에 붙은 작은 실. 궁중말로서 반간방(半間房). ②침구(寢具)▪의류(衣類) 등을 간수하는 간.
l 벽장(壁欌) : ①바람벽에 잇대어 작은 문을 달아 만든 장. ②방의 웃목이나 옆벽의 상부에 달아내어 꾸민, 세간을 두는 곳.
l 사당벽장(詞堂壁欌) : 별채로 사당을 꾸미지 않고, 대청 또는 웃방의 한 부분에 벽장을 꾸미고 신위를 모셔 두고 제향하는 곳.
l 개흘레 : 기둥 바깥 처마 밑에 달아 낸 작은 간이나 벽장. 옷▪세간 등을 넣는 곳.
l 붙장 : ㄱ자집에서 부엌 바깥 쪽 안방 옆에 붙여 만튼장. 간단한 그릇▪양념 등을 간직하는데 쓰임.
l 퇴(退) : ①원집채에 물려서 달아 낸 간(間). 또는 마루. 퇴간. 툇마루. ②원집채 주위에 딴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좁은 간살 또는 집채.
l 퇴간(退間) : ①건물의 내진 밖에 달아 낸 내진 보다 폭이 좁은 외진(外陳)의 주간(柱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된 건물에서 좌우 끝 쪽에 있는 간. 대개 협간 보다도 작게 함. ③몸채 앞뒤에 달린 간. 또는 덧달아 낸 칸. 물림간. 툇마루. 툇간.
l 툇마루간 : ①좁고 길게 된 퇴간에 놓은 마루. ②원마루 밖에 좁게 달아 낸 마루. 실 마루▪쪽마루 등.
l 반간퇴(半間退) : 몸체의 반 간 정도의 나비로 달아 낸 퇴.
l 돌퇴 : 건물의 갓 둘레에 붙인 퇴간.
l 전후퇴(前後退) : 건물의 전후면(前後面)에 퇴간(退間)을 둔 것.
l 전퇴(前退) : ①건물의 전면(前面)에 붙인 퇴간(退間). ②건물의 앞에 둔 물림간.
l 뒷퇴(後退) : 집채의 원간살의 후면에 따로 기둥을 세워 달아 꾸민 퇴간.
l 회랑퇴(廻廊退) : 집채의 원간살의 주위에 따로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퇴간. 돌퇴.

*참고 문헌
☞ 1972 ‘건축구조 도해’ 건설연구회 편저 발행
☞ 1978 ‘건축용어사전’ 김평정 편저
☞ 1983 ‘올바른 건설현장용어집’ 대한 건설협회

     한국 건축 용어 Ⅱ
1. 공공건물
l 뒷간 : 뒤를 보는 간. 변소. 화장실. 측간.
l 측간(廁間) : 뒤간. 칙간.
l 안뒷간(內廁間) : 안채의 뒤쪽에 딸린 뒷간. 아녀자가 주로 씀.
l 한데뒷간 : 집의 울 밖에 만들어 놓은 뒷간.
l 광 : 주택에서 세간 따위를 넣어 두는 작은 곳간. 고방.
l 숫간(一間) : 몸채 뒤에 작고 낮게 지은 광이나 객실. 시골 집에 많음.
l 곳간(庫間) : 곡물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간. 창고. 곡간(穀間).
l 고방(庫房) : 바닥을 온돌로 꾸미고 온갖 물건을 넣어두는 방.
l 장간(醬間) : 장독▪항아리 등을 넣어 두는 간. 장독간.
l 장독대 : 장독을 올려 놓게 만든 대.
l 김장광 : 김장독을 넣어 두고 김장을 해넣는 창고. 보통 지하실 창고로 함. 사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되는 곳이어야 함.
l 연료간(燃料間) : 신탄을 넣어 두는 곳.
l 신탄광 : 연료간.
l 잿간 : 불티재를 모아 두는 헛간.
l 헛간(虛間) : ①곡물▪건초 등을 임시로 수장하는 방. ②물건이나 기구 등을 놓아 두는 창고(재래 주택에서는 문이 없는 경우가 많았음).
l 허청(虛廳) : ①청판(廳板)이 없이 흙바닥으로 된 간(間). 공청(空廳). ②바닥 마루나 반자를 꾸미지 아니하고 창문도 달지 아니한 간. 헛간(虛間). ③변하여 옹이가 빠지거나 틈이 나서 비어 있는 작은 구멍.
l 헛집 : ①지붕 서까래를 건 다음 용마루▪박공마루 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 위에 덧 꾸민 지붕. ②지붕만을 씌운 집. 헛지붕집.
l 연자방앗간(硏子一間) : 연자매로 곡식을 찧는 방앗간. 연자맷간. 연자간.
l 연자맷간 : 연자방앗간.
l 방앗간 : 방아로 곡식을 찧거나 빻거나 하는 곳. 또는 그 집이나 간. 정미소(精米所). 도정공장(搗精工場).
l 외양간 : 소를 먹이는 간.
l 마구간 : 말을 사육하는 간. 또는 따로 지은 집. 말간.
l 구사(廐舍) : 마구간.
l 마방(馬房) : 마구간. 마방집.
l 경비실(警備室) : 한 구역 안의 경비를 하는 인원이 있는 실. h는 경비를 하는 곳.
l 파수간(把手間) : 한 구역 안의 경비를 보는 간. 경비실. 망루.
l 참간(站間) : 일하는 인원이 모이거나 들러서 잠깐 쉬는 간.
l 다락방 : ①지붕 속을 이용하여 설치한 작은 방. 천장 높이가 낮고, 활동 공간이 적으므로 창고 등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음. ②다락처럼 높이 꾸민 방. ③지붕속에 꾸민 방. ④예수가 12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베푼자리. 예수살렘 서쪽에 있었던 마가의 어머니인 마리아의 집이 라고도 함.
l 다락 : ①부엌 천장 위에 이층처럼 만들어서 물건을 두는 곳. 안방에서 드나듦. ②다락같이 된 집. 누(樓)다락. 누각(樓閣). 다락집의 준말. ③지붕 속에 꾸민 작은 방. 다락방.
l 더그매 : 지붕 밑과 천정 사이의 공간. 또는 그곳에 꾸민 작은 방. 보꾹층.
l 애틱 : ①지붕 밑 보 위에 있는 다락방. ②르네상스 건축에 있어서 처마 끝을 감추기 위해 처마 돌림띠 위에 만든 일종의 파라페트로서 언타블러 처의 일부 또는 그 부분에 만든 중이층.
l 고미다락 : ①고미와 보꾹 사이의 빈 곳. ②양옥의 애틱.
l 쇠다락 : 외양간 위에 꾸민 다락.
l 보꾹 : 지붕보의 상부 지붕 밑 부분. 지붕 속.
l 보꾹층 : 지붕 속에 있는 방. 또는 그 층. 더그매방
l 치장보꾹 : 지붕 속을 제고몰 반자로 하여 치장 마무리한 부분.
l 양첨(凉檐) : 볕을 가리기 위하여 따로 달아 낸 차양.
l 양실(凉室) :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방 또는 마루 앞 처마 끝에 덧달아 낸 집. 양첨.
l 차일(遮日) : 햇볕을 가리려고 치는 포장. 천포(天布).
l 한데 : 사방을 막거나 덮지 아니한 곳. 집채의 바깥. 노천(露天).


한국 건축 용어 Ⅱ
1. 가구- 일반▪장롱
l 가장집물(家藏什物) : 집안의 온갖 세간. 가집(家什). 가장집기.
l 곡목가구(曲木家具) : 무른 목재 덩굴나무 등을 구부려 만든 가구. 곡목은 화열(火熱)▪삶기▪ 찌기 등으로 연하게 하여 구부림. 목재는 등나무▪너도밤나무 등이 쓰임.


2. 가구- 거울▪기물▪등롱
l 주련 : 그림이나 글귀를 쓰거나 새겨서 기둥에 걸러 두는 물건. 또 그 연구(聯句). 영련(楹聯).
l 주련판(柱聯板) : 기둥에 붙이는 연구(聯句)을 새긴 판.
l 목주련(木柱聯) : 널판대기로 만든 주련. 주련판.
l 족자(簇子) : 그림이나 글씨를 써서 걸게 만든 두루마리. 축(軸). 떼어서 말아 둠.
l 액자(額字) : ①현판에 쓴 큰 글자. ②그림이나 글을 써서 거는 틀. 액틀. 편액.
l 현판(懸板) : 문 및 전각(殿閣) 등의 처마 밑에 건물 이름을 새긴 널액자. 또는 틀.
l 편액(扁額) : 종이 비단 또는 널빤지에 그림▪글씨 등을 그리거나 써서 벽이나 문 위에 걸어 놓는 액자(額字). 편제(扁題).
l 편제(扁題) : →현판. 편액(扁額).

한국 건축 용어 Ⅲ
1. 일반▪목재
l 목재(木材) : ①나무로 된 재료. ②재목(材木).
l 원목(原木) : 제재하기 전의 통나무. 통나무와 만각재.
l 통나무 : 아직 제재하지 않은 둥근 원목. 껍질만 벗겨낸 목재.
l 두리목(豆里木) : 둥근 재목. 통나무.
l 반쪽통나무 : 통나무를 절반으로 가른 재목. 연목누리개 등에 쓰임.
l 원재(元材) : 제재목으로 쓰이는 나무. 원목. 통나무와 만각재로 구분됨.
l 궁재(宮材) : 궁궐 건축에 쓰고자 마련된 목재(화성의궤).
l 부등(不等) : 재목이 굵고 길이에 따라 구분하는 원목. 대부등(大不等) ▪중부등(中不等) ▪소부등(小不等)으로 대별함.
l 누주(樓柱) : 지름 50cm 정도, 길이 5m 정도로서 이층 통재기둥(누각기둥)으로 쓰이는 큰 목재. 뗏목으로 운반함.
l 원체목(圓體木) : 둥근 통나무. 원목(原木). 건축의 체목으로 쓰임.
l 둥굴이 : ①껍데기를 벗긴 통나무. ②둥글게 제재 또는 치목한 나무.
l 인거재 : 사람이 톱질하여 제재한 재목.
l 벽련목(劈鍊木) : 산판에서 통나무를 대강 네모나게 다듬은 재목.
l 제재(製材) : 수목을 벌목하여 동강낸 원목을 톱으로 켜서 소요의 치수와 형태로 만드는 일.
l 제재목(製材木) : 기계톱으로 오려낸 목재.
l 정련목(精鍊木) : 손질을 잘한 재목.
l 제재치수 : 제재시의 톱날의 중심간 거리로 표시하는 목재의 치수.
l 제재정치수 : 제재하여 나온 목재 자체의 정미치수.
l 마무리치수 : 제재목을 치수에 맞추어 깎고 다듬어 대패질로 마무리한 치수. 설계도면에 지시된 치수는 창문틀에 있어서는 제재치수, 창문짝에 있어서는 마무리치수로 함. 마감치수.
l 각재(角材) : 사가형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오림목. 중각재▪대각재 등으로 대별함.
l 평각재(平角材) : 나비가 두께의 1.5배 내외로 된 각재. 두께 5~10cm, 폭 7.5~20cm인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정각재.
l 오리목 : 단면이 작은 제재목.
l 띠장재 : 두께 5cm 이하, 나비 10cm 미만의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l 체목(體木) : 나무구조 건축물의 뼈대로 쓰이는 목재. 기둥▪보▪도리 따위의 뼈대가 되는 재.
l 서돌 : 서까래▪도리▪보▪기둥 따위의 중요한 체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l 연목(椽木) : 서까래, 또 서까래로 쓰이는 통나무. 대▪중▪소연목으로 구분한 (화성성역의 궤).
l 정척물(定尺物) : 길이의 규격에 맞는 재료. 국내규격으로 목재는 길이 1.80, 2.70, 3.60m의 것.
l 장척물(長尺物) : 정척물보다 긴 목재. 보통 0.9m씩 길어진 것을 표준으로 함.
l 난척물(亂尺物) : 목재길이 규격에 있어서 1.8m(6자) ▪2.7m(9자), 3.6m(12자)이외의 재.
l 장목(長木) : ①긴 나무. ②물건을 바치는 데 쓰는 긴 나무.
l 잡장목(雜長木) : ①건축에 잘 쓰이지 아니하는 긴 나무. ②물건을 받치는 데 쓰는 긴 나무. 잡장개비.
l 거친목재 : 제재목▪인거재 등의 대패질이 되지 않은 목재.
l 만각(萬角) : 산판에서 적당히 켜서 만든 죽이 붙은 큰 각재.
l 만각재(挽角材) : ①원목을 대략적으로 만들어 일부 수피가 남아 있는 거친 제재목. ②목재는 원목과 제재목으로 구분되고, 원목은 통나무 만각으로, 제재목은 널재▪오림목▪각재로 분류함.
l 건목재 : 산판에서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은 거친 재목.
l 자귀벌 : 산판에서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은 거친 재목.
l 도끼벌 : 산판에서 원목을 도끼로 대강 다듬어 제목한 것.
l 벌재 : 감추이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 쓰는 질이 나쁘고 흠집이 있는 재목.
l 뗏목 : 산에서 벌목하여 강물에 띄웨 내려온 나무.
l 물통나무 : 젖은 생나무. 물통이 나무. 물먹은 나무.
l 날나무(生木) : 벌목한 지 얼마 안 되어 마르지 아니한 나무 생나무.
l 잡목(雜木) : ①건축에 잘 쓰이지 않는 나무. ②광엽수로서 단단한 나무의 총칭. ③참나무 등의 속칭.
l 괴잡목(傀雜木) : ①잡용으로 쓰이는 나무. ②단단한 참나무등의 속칭.
l 산재(散材) : 쓸모없는 재목.
l 재절목(栽切木) : 용도에 맞추어 마름질하여 잘라 낸 나무.
l 재여목(栽餘木) : 잘라 쓰고 남은 목재.
l 말단목 : 재목을 마르고 잘라버린 끄트머리. 토막나무.
l 지가 : 원목에서 재목감을 잘라 내고 남은 가는 줄기와 나뭇가지. 우죽.
l 청태목(靑笞木) : 생나무로 만든 연장자루에 쓰는 나무. 물푸레나무가 맣이 쓰임.
l 뒤틀재 : 꼬이며 비뚤어지는 것.
l 우죽 : 나무나 대의 우두머리 가지.
l 유각목 : 위 끝이 두 갈래 가장귀가 벌어진 기둥나무. 참나무나 다른 잡목(雜木)으로 헛가게 등을 지을 때 씀.
l 춘재(春材) : 나이테를 구성하는 조직이 무르고 덜 치밀한 목재.
l 추재(秋材) : 나이테를 구성하는 조직이 단단하고 치밀한 목재.
l 심재(心材) : 주심이 있는 부분에서 오려 낸 목재.
l 유심재(有心材) : 수목의 중심부에 있는 적갈색의 단단한 부분에서 켜낸 제재목. 수심이 있는 재.
l 거심재(去心材) : 수심이 들어 있지 않은 제재목.
l 적심재(赤心材) : 나무의 심에 가까운 색깔이 붉고 단단한 부분을 켜 낸 제재목. 심재.
l 황장재(黃腸材) : 수심에 가까운 적갈색이 나는 부분에서 잘라 낸 목재. 적심재(赤心材). ↔백변재.
l 변재 : 통나무의 겉부분의 목질부. 심재에 비하여 색이 담백하고 수액이 많으며 균충해의 정도도큼. ↔심재.
l 백변재(白邊材) : 수목의 표피 가까이에 위치한 담백색의 재. 담새부분의 목질부를 제재한 목재. 무르고 연하며 수액이 많고 탄력성도 크지만 함수율▪비중이 놓고 썩거나 변형이 잘 됨. ↔적심재.
l 널 : ①두께 6cm 미만, 너비는 두께의 3배 이상으로 켠 목재. 널빤지. ②관(棺)이나 곽(槨)의 총칭. 널감.
l 널빤지 : 원목을 얇고 넓게 켜낸 쪽. 널조각(널쪽). 널판.
l 널장 : 한 장의 널. 널조각 널쪽.
l 판재 : ①제재목으로 두계 6cm 이하이고, 나비는 두께의 3배 이상으로 켜낸 재. 널판자. ②관재(棺材).
l 널판대기 : ①넓고 두꺼운 긴 널. ②두께 3cm이상, 나비 30cm이상 되는 판재.
l 판자(板子) : 나무를 쪼개어 만든 얇은 조각. 널판재. 송판(松板).
l 널판 : ①넓고 두꺼운 널. 판대기. ②두께 3cm이상의 두꺼운 널의 총칭. 널빤지.
l 대반널 : 두께 3cm이상, 나부 30cm이상 되는 널재. 반재(盤材). 널판대기.
l 판널 : ①두께 3cm이상의 두꺼운 널의 총칭. ②울거미를 짜고 여러 장의 널 또는 합판을 붙여 만든 넓은 판. ③파넬의 속칭.
l 광후판(廣厚板) : 넓고 두꺼운 널판대기(화성성역의 궤).
l 판대기 : 넓고 두꺼운 긴 널쪽. 널판대기.
l 송판(松板) : 소나무를 켜서 만든 널.
l 장송판(長松板) : 썩 긴 송판. 3.6cm 이상으로 긴 널판대기.
l 백자널 : 잣나무의 널빤지.
l 광가판 : 넓은 피나무널. 넓은 틀가락 널.
l 마루널 : 마루에 깔아 대는 널. 한 옆의 홈을 파고 다른 옆을 혀를 내어 물리게 됨. 제혀쪽매 또는 딴혀쪽매로 함. 청판.
l 플로어링보드 : 좁은 널에 제혀 또는 홈을 내어 마루에 까는 널. 참나무▪미송▪나왕▪이피톤 등의 굳고 결이 좋은 목재를 건조시켜 가공한 마루널재.
l 쪽매판 : 좁은 널 서너 장을 족매하여 크기30cm 각 정도로 만들어 마루에 까는 정방형의 판. 뒷면에 쇠띠장▪쇠발을 대어 쪽매하고 옆은 홈과 제혀를 내어 서로 물리게 되었음.
l 쪽매널 : 밑창널 위 까는 마루널에 여러 종류의 널조각을 무늬를 놓아 붙여 대는 데 쓰이는 널. 단풍▪박달▪자단▪흑단▪화류▪티크▪마호가니등이 색깔이나 널결이 아름다워 많이 쓰임.
l 졸대 : ①얇고 좁게 오려 낸 널. 벽▪천장 등에 간격을 띄어 대고 회반죽바름의 바탕으로 쓰이는 나무오리. ②좁고 가늘게 쓰는 재의 총칭.
l 졸대목 : 풍판(風板)의 널 사이에 덧박아 대는 나무오리.
l 엇평 : 벽▪천장 등의 흙바름▪회반죽바름의 바탕꾸미기에 쓰이는 가느다란 나무쪽. 예전에 쓰이던 말로 지금은 대개 졸대라 함.
l 유리누름대 : 유리를 고정시키는 테두리선.
l 피죽 : ①나무 표면에 붙은 죽. ②죽더기의 딴이름.
l 변죽 : ①대나무를 쪼갠 것 중 표피가 있는 것. ②변하여 제재목의 통나무 거죽이 붙은 널. ③그릇이나 세간들의 가장자리.
l 변판(邊板) : 토나무의 갓변 겉쪽에서 제재된 널.
l 죽더기 : 제재목 또는 오림재를 켜내고 남은 표피부분의 널모양의 나무. 피죽.
l 죽널 : 널의 일부에 나무의 둥근 표피(죽면)가 있는 널.
l 죽없는 널 : 죽이 들지 아니한 널.
l 죽재 : 나무의 겉쪽에서 쪼개 낸 각재로서 표피(죽면)가 들어 있는 것. 죽각재▪죽널의 총칭.
l 죽각재 : 제재목 또는 치목재에 표피(죽면)가 들어 있는 각재.
l 널켜기 : 원목에서 널재를 켜내는 일.
l 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이 되게 켜고 각기 연륜에 직각이 되게 널을 켜는 제재법. 곧은결의 널재를 얻고자 할 때 씀.
l 방사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각기 대각선 방향으로 널으 켜는 제재법. 곧은결의 널재를 얻고자 할 때에 쓰임. 지름방향켜기.
l 보통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지름방향 평행으로 널을 켜는 제재법.
l 교대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좌우에서 직각 교대로 널을 켜는 제재법.
l 석장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한 변에서 널을 석장씩 평행으로 켜고 직교하여 석장을 켜내는 제재법.
l 널결켜기 : 원목을 연륜의 45도 이내의 경사로 널재를 켜내는 일.
l 연륜(年輪) : 수목의 횡단면에 보이는 동심원으로 된 둥근테. 일 년간에 성장이 왕성한 봄의 목질부는 크며 연약한 충(춘재)이 되고 여름 이후는 목질부가 작아지고 치밀한 충(추재)이 되므로 그 사이에 해마다 층이 생기게 되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음.
l 나이테 : →연륜.
l 수심(樹心) : 외향성장형(外向成長形)인 나무의 중심부에 있는 솜 같은 부분.
l 수선(髓線) : 나무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줄(조직 부분). 그 세포 속에는 나무의 양분의 운반 정장이 됨. 목재에 따라 수선이 뚜렷한 것(참 나무)과 희미한 것(침엽수)이 있음. 수선은 널결에서 섬유방향에 짧고 가는 선으로, ?은결에서는 섬유방향에 직각인 띠형으로 나타남.
l 신생조직(新生組織) : 수목의 껍질 부분에 새로 생긴 목질부.
l 껍질: 생마누 목질부(木質部) 바깥에 둘러싸인 무른부분. 나무껍질. 수피.
l 속껍질: 나무껍질에서 목질부 가까이에 있는 얇고 질긴 껍질.
l 겉껍질: ①나무껍질에서 속껍질 바깥에 둘려 있는 두꺼운 껍질. ②씨앗의 외피.
l 굴피 : ①참나무의 두꺼은 껍질. 지붕을 덮는 데 쓰임. ②나무껍질로 덮은 지붕. 굴피집.
l 널거죽 : ①널면에 있어서 껍질에 가까운 쪽의 면. ②널면의 결점이 적은 쪽의 면.
l 널안 : 널면의 수심에 가까운 면. 널뒤.
l 나뭇결 : ①나무줄기의 중축을 통과하는 동단면에서 보는 곧은결과 중축을 비낀 종단면의 널결의 총칭. ②나무의 제재면에 나이테 등의 조직이 나타나는 무늬. 곧은결(이방곧은결▪사방곧은결), 널결, 무늬결, 엇결 등의 종류가 있음.
l 곧은결 : 연륜에 직각방향으로 오려 낸 제재목면에 평행직선으로 나타나는 나뭇결.
l 곧은결재 : 나이테가 평행직선으로 나타나게 제재한 재목.
l 널결 : 나이테에 접선 방향으로 오려 낸 제재목면에 나이테가 무늬로 나타나는 나뭇결.
l 널결재 : 나무를 나이테의 접선방향으로 켜서 널무늬가 나타나게 제재한 재목.
l 점박이결 : 곧은결재에 수선이 나타난 것. 은목(銀杢).
l 무늬결 : 나무의 종단면에 아름다운 얼룩 무늬로 나타나는 나뭇결.
l 엇결 : 나무섬유가 꼬여 나뭇결이 휘거나 꼬이며 자란 나무를 직선으로 켤 때 연륜줄(나이테)이경사지게 나타나는 나뭇결.
l 흠결 : 이그러진 나뭇결. 나무가 자라는 동안에 부러지거나 찢기어 생긴 상처가 자라며 굳어진 결.
l 문돋이 : 곧은결의 목재면에 수선의 반점이 나타난 것.
l 얼곧은결 : 곧은결의 목재면에 수선의 반점이 나타난 것.
l 얼곧은결 : 수심에 가까운 제재면에 나타나는 널겨과 곧은결의 중간정도의 나뭇결. 수심부와 양변을 제외한 부분에 나타남.
l 선회나뭇결 : 뿌리나 옹이 근처에서 생기는 널에 이리저리 도는 모양으로 된 나뭇결. 용목(龍木). 나선 나뭇결.
l 실결 : 곧은결의 사이가 좁고 곱게 나타난 곧은결.
l 마구리 : ①목재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자른 끝면. 목구. 단구. 말구. ②벽돌의 6면 중 가장 좁은 면. ③긴 재료가 잘린 끝면.
l 말구 : 통나무의 마구리. 끝마구리. 둥글고 긴 재목의 끄트머리면. 또는 그 지름. 상원경(上圓徑).
l 끝마구리 : 통나무의 가는 웃끝의 마구리.밑마구리 : 통나무 밑의 굵은 마구리. 달원경.
l 밑둥 : 긴 물건의 맨 아랫 동아리. 밑동. 기둥 밑동.
l 밑둥 부리 : 원목의 아래 쪽을 잘라 ?은 부분. 밑 마구리.
l 둥치 : 큰 나무의 밑둥.
l 끝동(뿌리) : 두절목. 나무의 끄트머리 쪽을 잘라 낸 것.
l 끄트러기 : ①쓰고 남은 자질구레한 재료. ②끊거나 깎아 내고 처진 나뭇조각.
l 옹이 : 나뭇가지의 밑둥 부분이 제재목에 나타난 부분.
l 절 : 나무줄기에서 가지가 돋아난 자리가 제재목에 나타난 부분.
l 생옹이 : 제재목에 옹이 마디가 단단히 붙어 있고 빠지거나 썩지 아니한 옹이.
l 죽은 옹이 : 제재목에 몹시 말라서 흔들리거나 빠지게 된 옹이.
l 썩은옹이 : 목재면에 박?ㄴ, 썩어서 부석부석하게 된 옹이.
l 무절(無節) : 옹이가 없는 제재목. 상재(上材)로서 창호재▪수장재▪가구재로 쓰임.
l 소절(小節) : 작은 오이만이 있는 목재. 작은 옹이.
l 대절(大節) : 큰 옹이만이 있는 목재. 큰옹이
l 옹이구멍 : 옹이가 빠져 구멍이 난 것. 빠진옹이.
l 송진구멍 : 제재목에 나타난 송진이 모여 있는 곳(구멍).
l 옹두리 : 옹이자리가 불룩 두르러진 것.
l 껍질박이 : 껍질의 일부가 목재 내부에 들어 낀 것. 입피부. 나무가 자랄 때 피질이 목질에 감싸여 있다가 제재목에 나타남.
l 나무진홈 : 나무가 생육할 때 생기는 수분▪양분 등의 액체가 길게 모여 있는 것. 송진흠.
l 죽 : 제재목의 모서리 또는 옆면에 통나무 표피면이 남아 있는 부분.
l 흠집 : 목재의 나쁜 부분이 있는 것.
l 숨은흠 : 목재의 내부에 숨어 있는 흠집.
l 찍김 : 갈고리쇠나 돌에 찍혀져서 생긴 흠.
l 갈램 : 목재가 마르면서 갈라진 틈서리. 목재흠의 한 가지. 균열.
l 건조갈램 : 목재 건조에 따른 불균형 수축으로 생기는 갈램.
l 마구리갈램 : 목재의 마구리면이 건조하면서 갈라진 곳. 방사갈램과 두리갈램이 있음.
l 방사갈램 : 목재의 연륜에 직각방향으로 갈라진 것. 심갈램.
l 심갈램 : 원목의 수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생긴 심재(心材)의 갈램. 노목의 입목 중에 심재부의 수축에 의하여 생김.
l 두리갈램 : 목재가 나이테를 따라 둥글게 갈라지는 것.
l 좀먹음 : 좀벌레가 나무 속을 파먹어 생긴 목재의 구멍난 흠집.
l 부식(腐蝕) : 물체가 공기 또는 물과 접촉하여 그 속에 함유된 산소와 산화작용을 하여 썩는 현상.
l 건식(乾蝕) : 균사속(菌絲束)이 있는 부후균(腐朽菌)이 지면 또는 그 부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비교적 건조된 상태로 목재의 표면에 발육 만연되어 재가 갈색으로 변색하며 썩는 것. 건부(乾腐)라고도 함.
l 습식(濕蝕) : 호습성▪목재부후균에 의한 목재의 썩음. 썩정이는 갈색을 띠고 습기차짐.
l 삭기 : 비교적 소량의 습도로 성장하는 목재 부후균에 의하여 건조상태로 썩은 것. 이것은 취약(脆弱)해지고 손으로 비비면 바삭바삭한 분말로 됨.
l 방화목재(防火木材) : 목재를 방화약제로 처리하여 불연성(不燃性)으로 한 것. 보텅 방화약제에는 인산(燐酸) 암모늄을 가입주입함.
l 방부목재(防腐木材) : 방부재를 주입하거나 침투시킨 목재.
l 구새먹음 : 통나무의 수심부가 썩어서 생긴 큰 구멍. 구새통(구새먹은통. 농가의 굴뚝 등에 쓰임).
l 구새통 : ①구새가 먹어 속이 구멍이 난 통나무. ②굴뚝.
l 굽정이 : 저절로 휘어 구부러진 통나무나 제재목.
l 썩정이 : ①목재의 썩은 부분. ②썩은 부분이 있는 목재.
l 삭정이 : 삭은나무.
l 우르렁이 : 평면진 나무의 한가운데가 우그러든 것.
l 쭈그림 : 재면에 다른 부재가 압축되어 들어가는 작용.
l 목재건조(木材乾操) : 목재의 수분▪수액 등을 뽑아 내는 것. 목재의 신축변형을 작게 하고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말리는 것.
l 자연건조(自然乾操) : 목재를 직사일광을 피해 공기의 유통이 좋은 그늘에 쌓아 두어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것.
l 삶은건조 : 목재를 삶아 끓여 건조 시키는 것. 자비건조.
l 침수건조(浸水乾操) : 목재를 수중에 담갔다가 건조시키는 것.
l 건목(乾木) : ①건조한 목재. 마른나무. ②진을 뽑은 나무.
l 마른나무(乾木) : 건조한 목재. 함수율 13~18%가 표준임. 건조재. 건목.
l 건조재(乾操材) : 수분이 적은 목재. 함수율이 13~18%이하로 건조된 목재.
l 기건재(氣乾材) : 대기중에서 건조 시킨 목재. 보통 함수율이 13~18%정도임.
l 흡수율(吸水率)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의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전수량의 걸대건조 중량에 대한 백분율.
l 함수율(含水率) : 재료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중량의 건조상태 중량에 대한 백분율.
l 함수량(含水量) : 재료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중량.
l 반수둑이 : 반만 건조하고 반은 젖어 있는 상태의 목재.
l 수상목(水上木) : 뗏목으로 운반된 목재. ↔경산목(京山木).
l 수상재(水上材) : 뗏목으로 운반하여 내려온 목재. 수상목.
l 산재(山材) : 가까운 산에서 나는 목재.
l 경산재(京山材) : 가까운 산에서 벌목한 목재. 산재. 서울 근교에서 나는 목재. ↔수상목.
l 연목재(軟木材) : 재질이 무른 목재. 일반적으로 침엽수의 목재에는 연목재가 많음.
l 마른나무 : 질이 무르고 비중이 작은 나무. 연목재. 연질목.
l 굳은나무 : 질이 단단하고 비중이 큰 나무. 일반적으로 참나무류에는 굳은 나무가 많음. 경질목.
l 구슬선 : ①구석 틈서리 등에 눌러 대는 선(가는 나무오리). 누름선. 누름소란. ②선으로 대는 나무오리에 구슬 모양을 돋히거나 보기 좋은 쇠시리를 한 것. ③아크용접▪가스용접에 있어서 용접봉이 1회 통과함에 따라 모재 표면에 용착되는 금속층. ④함석▪플라스틱 제품 등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조금 말거나 꼬부린 선.
l 합판(合板) : 두께 1~2mm로 얇게 쪼개 낸 단판을 3장 이상 여러 겹(기수겹)으로 교착한 넓은 판. 표면의 것을 표판(表板), 뒷면의 것을 뒷판, 중심에 있는 것을 심판(心板)이라 하고 겹칠 때는 섬유방향이 서로 직교되게 하며 내수정도에 따라 품질을 구별함.
l 베니어판 : 합판▪적층재(積層材)을 만들 대에 쓰이는 아주 얇게 오려 낸 널. 두께는 보통 1~2mm정도이고, 오리는 방식에 따라 로터리베니어, 슬라이스드 베니어, 소운 베니어가 있음. 합판을 베니어판이라고 속칭하는 것은 잘못임. 단판(單板).
l 단판(單板) : 베니어판. 적층판에 대한 것임.
l 로터리베니어 : 로터리 래스에 의하여 둥근 원목을 돌려서 벗겨낸 단판. 원목의 지름 40~60cm, 길이 2~2.5mm이고 재장 이상의 긴 대패날로 회전벗김으로 하여 합판의 단판으로 쓰임.
l 슬라이스드베니어 : 목재를 고정하고 긴 대패날로 평면지게 밀어 벗긴 얇은 단판. 합판 제작에 쓰임.
l 소운베니어 : 톱으로 켜낸 단판. 켜낸 단판.
l 적층재 : 단판을 여러 겹으로 접착한 판재. 두께 1~1.6mm의 단판을 접착하여 130도 정도로 가열 수지를 함침시킨 단판을 100~300kg/㎠로 압축하여 비중 1.25~1.4의 적층재를 경화적층재(硬化積層材)라 하고 또 강화목(强化木)이라고도 한다. 또 켜낸 판 적층재 또는 집성재(集成材)라 한다.
l 집성목재(集成木材) : 두께 2.5~5cm의 판을 섬유방향만으로 겹쳐 접착된 적층재. 길이 및 나비 방향으로 이어 대거나 붙임.
l 무늬목 : 대패밥 모양으로 두께 1mm내외로 벗겨 낸 얇은 나무. 합판 등의 표면에 치장으로 붙여대는 데 씀.
l 외목(椳木) : 흙벽의 바탕으로 엮어 대는 가는 나뭇가지. 수수깡▪갈대▪싸릿개비▪쪼갠 대가지 등. 옻나뭇가지는 잘 썩지 아니하여 흔히 쓰이었다고 함. →졸대. 엇평. 외(준).
l 대오리 : 대를 가늘게 쪼개어 외로 쓰이는 대쪽.
l 수수깡 : 수수의 대. 잎을 다듬어 외로 쓰이는 것.
l 싸리 :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건축에서는 산자감으로, 굵은 것은 연침재로 쓰임.
l 겨릅(대)(魔骨) : 삼대의 껍질을 벗긴 속대. 삼대. 마골.
l 삼대 : 겨릅대. 삼대의 껍질을 벗긴 속대. 마골. 겨릅대.
l 숙마 : 삼을 익혀 벗겨 낸 껍질. 밧줄을 꼬는 데 쓰임.
l 바자 : ①대▪갈대▪수수깡▪싸리나무 등으로 발처럼 엮거나 곁은 물건. 울타리를 치는 데 씀. 파자. ②바자울의 준말.
l 개바자 : 갯버들의 나뭇가지로 엮어 만든 바자.
l 싸리바자 : 싸리를 성기게 발모양으로 엮거나 곁은 것. 채마밭의 울타리 또는 간단한 헛간의 벽에 쳐서 막음.
l 새끼 : 짚으로 꼰 줄.
l 고색 : 새끼 (차자표기).
l 짚 : ①벼▪밀▪조 등의 이삭을 떨어 낸 줄기. ②볏짚.
l 생칡 : 칡나무의 덩굴. 밧줄을 꼬거나 외가지▪산자 엮는 새끼 대신에 쓰이었음.
l 새 : ①띠▪억새 같은 풀의 총칭. ②억새. ③이엉. ④땔나무.
l 섭 : 잎나무. 땔나무. 새. 섭새(평안). 사립문을 만드는데 씀.

 

한국 건축 용어 Ⅲ
2. 장식▪못
l 철물(鐵物) : 쇠로 만든 옷갖 물건. 금물(金物).
l 금물(金物) : ①쇠붙이로 만든 물건. 철물. ②금동▪청동▪황동▪백동 등의 고급 금속재의 장식이나 창호 철물.
l 이음철물 : 목 구조물의 각부재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데 쓰이는 철물.
l 이음쇠 : 두 재의 이음을 보강하여 대는 철물. 이음철물.
l 꺾쇠 : 목조 건축에서 두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양끝을 꼬부려 두재를 쳐서 박아 보강하는 철물. 몸퉁은 원형▪각형▪형각형이 있고 모양은 엇꺾쇠▪주걱꺾쇠 등이 있음.
l 평꺾쇠 : 몸통이 장방형 단면으로 된 꺾쇠. 얄팍한 띠쇠를 배둥글게 하기도 함.
l 원꺾쇠 : 몸통의 단면이 원형으로 된 꺾쇠.
l 네모꺾쇠 : 몸통이 사가형으로 된 꺾쇠. 각꺾쇠.
l 엇꺾쇠 : 양끝머리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 꺾쇠.
l 어금꺾쇠 : 엇꺾쇠.
l 주걱꺾쇠 : 한 끝은 꺾쇠, 다른 끝은 띄쇠 모양으로 되어 못으로 고정하게 된 꺾쇠. 단촉꺾쇠. 대갈꺾쇠.
l 단촉꺾쇠 : 주걱꺾쇠.
l ㄱ자쇠 : 띠쇠를 ㄱ자형으로 구부리거나 오려서 만들어 접합부를 보강하는 데 쓰는 철물.
l 주석쇠 : 목재의 이음맞춤자리의 보강▪마멸방지 또는 장식으로 쓰이는 놋쇠.
l 국수형 거멀잡이 : 몸통이 가늘고 등을 조금 불룩하게 휘어 만든 거멀용 장식쇠.
l 굽쇠 : ㄱ자 또는 ᆮ자로 꺾어 구부린 철물.
l 정자쇠 : 정자형(丁字形)으로 생긴 연결쇠.
l 새발장식 : 창문▪가구 등의 울거미의 맞춤새를 연결 보강하며 장식으로 대는 철물.
l 오족철(烏足鐵) : 창문 울거미가 벌어지지 않도록 덧붙인 거멀쇠.
l 모서리쇠 : 기둥▪벽▪모서리에 세워 대어 미장 벽면의 모서리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철물. 코너비드.
l 귀싸개장식: 갑이나 함등의 삼면 모퉁이를 감싸 대는 장식쇠.
l 감잡이쇠 : ①띠쇠를 ewkgud으로 꺾어 만든 보강철물의 하나. 대문널 감잡이쇠. ②평보를 대공에 달아맬 때 또는 평보와 ㅅ자보의 밑에 감게 되는 철물.
l 거멀장 : ①나무 그릇 등의 맞추어 짠 자리 또는 모퉁이에 걸치어 대는 쇠. ②문을 건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하는 일.
l 거멀장식(巨勿裝飾) : 나무 그릇 등의 이어 댄 자리나 맞춘 자리에 걸치어 대는 쇠.
l 거멀쇠 : 부재의 이음새▪맞춤새에 틈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철물.
l 거멀쪽 : 함석▪동판지붕의 옆이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는 함석 또는 동판쪽. 빈말기기와 가락의 밑씌움과 덧씌움새에 끼워서 보강하는 쪽.
l 띠쇠 : 띠모양으로 된 이음 철물. 좁고 긴 철판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이음새▪맞춤새에 대어 두 부재가 벌어지지 않게 보강하는 철물. 대철.
l 안장쇠 : 한 부재에 걸쳐 놓고, 다른 부재를 받게 되는 안장처럼 만든 철물.
l 견마대철(牽馬帶鐵) : 안장쇠.
l 박공장식 : 좌우 박공판이 맞닿는 데 보강과 장식을 겸하여 박아 대는 철물. 지내철▪방환▪현어 따위.
l 지네철 : 박공판이 용마루 부분에서 마주치는 곳에 좌우 박공판을 연결 고정하는 꺾쇠모양의 철물. 또 널찍한 철판에 무늬를 새긴 것도 쓰임.
l 방환(芳環) : 박공판을 박아 댄 못머리를 덮어 가리어 박은 장식 철물.
l 현어(懸魚) : 박공판이 용마루에서 마주치는 하부에 다는 물고기나 초화(草花)형의 장식 철물. 중간 중도리의 마구리 부분에도 댐. 수어(垂魚).
l 내림현어 : 지붕의 내림마루 중간 또는 아래부분의 밑에 장식으로 단 현어.
l 수어(垂魚) : 현어(懸魚).
l 지느러미 : 박공장식인 현어의 좌우에 붙여 대는 장식.
l 사래끝장식 : 사래 끝머리에 박아 대는 장식 철판. 나무의 부식을 보호하며 장식하는 것. 기와로 만들기도 함.
l 사래볼철 : 사래의 옆면에 대는 장식쇠.
l 법수편철(法首片鐵) : 난간 어미 기둥 머리를 장식하고 돌란대 등과 연결 고정하는 철물.
l 나사탕개 : 나사를 틀면 좌우에 연결되는 쇠가 서로 당겨지게 된 쇠. 턴바클.
l 동물림(장식) : 가늘고 긴 물건이 서로 맞대어 잇는 자리에 대는 장식.
l 흠걸이 : 처마 끝이나 벽에 꽂아 흠통을 연결 고정하는 쇠.
l 아궁쇠 : 불아궁이에 대는 뚜껑이 달린 철물. 아궁철물. 불아궁문.
l 아궁문 : 불아궁이나 재아궁이에 대는 뚜껑이 달린 철물. 아궁쇠.
l 재거르개 : 불아궁이의 밑부분에 걸쳐대어 연료가 탄 재를 밑으로 걸러 내는 철물. 한 가래씩으로 된 것과 발처럼 된 것이 있음.
l 발재거르개 : 발이나 석쇠처럼 한 판으로 만든 재거르개.
l 가래재거르개 : 한 가래씩으로 만들어 여러 개를 배열하는 재거르개. 화격자.
l 화격자(火格子) : 석탄 등을 연소시키기 위하여 노흉(爐胸)바닥에 배열한 주철봉. 그 위에 연료를 넣고 밑에서 공기를 보내어 연소시키는 장치. 재거르개의 한 가지. 가래재거르개.
l 부시 : 새가 ?지 못하도록 포살미를 꾸민 집.
l 마름쇠 : 마름모형으로 가시를 돋힌 쇠. ①진지(陳地)에서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성벽 바깥 지면에 흩어 놓음. ②기와등▪용머리의 꼭대기에 새가 앉지 못하게 대는 쇠. 여철(黎鐵). 질려철.
l 못 : 목재의 이음▪맞춤 기타 접합부에 박아 보강하는 철물. 재질상 강철재못▪대나무못▪구리못▪놋쇠못 등이 있고, 머리모양 및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음.
l 모다구 : 못(황해▪평안▪함경도 방언).
l 쇠못 : 쇠로 만든 못. 양정(洋釘)과 재래정(在來釘)으로 구분함.
l 철정(鐵釘) : ①철재로 만든 못. 쇠못. ②철재로 만들어 돌을 평탄하게 쪼는 석공 기구. 쇠정.
l 철사못 : 철선으로 만든 보통 쓰이는 못.
l 양정(洋釘) : 철선을 자르면서 머리 모양을 내는 현대 공법으로 만든 못. ↔재래정. 재래 쓰이던 사각형단면의 구별하기 위한 이름.
l 편철정(片鐵釘) : 쇳조각으로 만든 쇠못.
l 네모못 : 몸통의 단면이 네모로 된 쇠못.
l 방정(方釘) : 몸통의 단면 또는 못머리가 정방향으로 된 쇠못. →네모못. 재래정.
l 둥근못 : 몸통의 단면이 원형인 쇠못. 원정.
l 원정(圓釘) : 몸통의 단면이 원형인 쇠못. 둥근못.
l 원두정(圓頭釘) : 머리가 원형으로 된 쇠못. 평원두정과 불룩원 두정이 있음.
l 불룩원두정 : 머리의 모양이 반구형(半球形)으로 불룩하게 된 못.
l 평두정(平頭釘) : 머리가 넓고 평평하게 된 못. 납작머리 못.
l 민머리못 : 머리가 작고 평평한 못. 머리가 재면에 잘 나타나지 않게 됨.
l 불룩머리못 : 머리가 둥글고 불룩하게 된 못.
l 네모머리못 : 머리가 네모로 된 못. 방두정.
l 방두정(方頭釘) : 네모머리못.
l 각두정 : 머리가 사각형으로 된 못. 평각두정과 불룩각 두덩이 있음. 방두정(方頭釘).
l 불룩방두정 : 머리가 각추형으로 불룩하게 된 못.
l 도내두정(道乃頭釘) : 머리가 흠구멍(도내)에 맞게 만든 못. 못머리가 두두룩하며 좁고 길게 되었음.
l 광두정(廣頭釘) : 머리가 크고 넓게 만들어 장식 겸용으로 쓰이는 못.
l 대두정(大頭釘) : 못머리를 크게 만든 못.
l 대갈못 : 대가리가 뚱뚱하고 큰 쇠못.
l 접시대갈못 : 못머리가 둥글납작한 못. 명두정(茗頭釘). 일본「사라뵤오」에서 딴 말.
l 큰못 : 보통 쓰이는 못보다 큰 못. 양정에서는 길이 15cm이상, 재래정에서는 기링 20cm이상의 못.
l 잔못 : 길이가 작은 못.
l 바늘못 : 바늘과 같이 몸통과 머리가 가늘게 된 강철재 못. 장식띠나 합판 등을 박아 대는 데 쓰임.
l 절정(切釘) : 보통 못의 대가리를 잘라 버리고 쓰는 못. 양끝못.
l 양끝못 : 못의 양쪽 끝을 뾰족하게 만들어 붙임널에 쓰는 못.
l 은혈못 : ①양끝이 뽀족하고 머리가 없는 못. 널붙임에 쓰임. 양끝못. ②나무를 조금 파고 박아 못머리가 감추어지게 박은 못. 은정.
l 은정(隱釘) : ①은혈못. ②숨은못치기.
l 양판못 : 장식띠나 쇠시리 등을 박는 아주 작은 못.
l 고리못 : 한 끝을 구부려 고리처럼 만든 못.
l 갈고리못 : 머리가 직각으로 구부러진 못.
l 곡정(曲釘) : 갈고리못.
l 거멀못 : ㄱ자 또는 ㄷ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못. 두 재를 연결하거나 깨진 독 등을 연결할 때에 쓰임. 또 철망▪메탈라스 등을 치는 데에도 쓰임.
l 찰거머리 : 쪽매널을 거멀하는 철물. 주름못. 거멀못의 별칭.
l 압항정 : 가막쇠와 같은 작용을 하는 못. 오리못.
l 주름못 : 끝이 톱니모양으로 되고, 몸통은 주름잡은 판철로 만든 거멀못. 목재를 쪽매하는 데 쓰임.
l 가시못 : 몸통에 가시를 돋힌 못. 처박으면 잘 빠지지 아니함.
l 비녀못 : ①빠지지 않게 깊이 처박는 길게 만든 못. 차정. ②뒤끝을 구부려 사려박은 못. ③삼배목에 끼우는 심대.
l 차정 : 비녀못.
l 산지못 : 산지로 박는 못, 또는 산지에 박은 못.
l 동자정(童子釘) : 아주 작은 못. 소정(小釘).
l 국화동자정(菊花童子釘) : 국화꽃 모양의 장식이 있는 작은 못. 판▪난간 등에 박는 장식못. 국화동정(준).
l 국화동정(菊花童釘) : 국화동자정의 준말.
l 국화쇠 : 꽃무늬를 새겨 만든 장식 철판. 배목▪고리 등의 밑판 또는 못머리의 장식으로 댐 한장의 철판에 꽃무늬를 돋히거나 여러 겹으로 겹쳐 대기도 함. 괏쇠(준).
l 괏쇠 : 국화쇠의 준말.
l 은혈장식(隱穴裝飾) : 박은 못머리를 가리어 장식으로 대는 쇠.
l 기와못 : 기와를 지붕널 등에 고정하는 못. 한식기와 못▪슬레이트기와못 등이 있음.
l 와정(瓦釘) : 기와못.
l 박이 : 박히어 있는 것. 박이의 차자표기(화성성역의궤). 부재에 박는 못이라는 뜻임.
l 꽂이못 : 물건이나 재료를 빠지지 않게 깊이 박아서 고정하는 데 쓰는 긴 못. 박이못.
l 괘정(掛釘) : ①걸쇠. ②갈구리가 달린 못.
l 변자못 : 물건의 가장자리를 꾸미는 재료를 박아대는 작은 못.
l 용두박이 : 용머리 기와에 박는 긴 못.
l 취두박이 : 취두(鷲頭)기와에 박아 대는 쇠못.
l 종심추녀박이 : 용마루에 오는 추녀를 누질러 박는 못.
l 종심박이 : 용마루 또는 그 위에 대는 적심을 박아 대는 못.
l 방초박이 : 숫막새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박아 대는 못.
l 방초정(防草釘) : 수키와가 흘러내리지 않게 기와등에 뚫은 구멍에 박는 긴 못.
l 유리못 : 유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누름대▪누름퍼티등에 박는 작은 못.
l 세모못 : 철판 등을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만들어 목재 창호 반죽 퍼티를 누르기 전에 유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박는 못.
l 나무못 : 대나무 또는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 구멍을 파고 꽂아 넣는 못. 목정.
l 대목 : 대나무로 대가리 없이 한 끝만 뾰족하게 만든 못. 대나무못.
l 대나무못 : 대나무를 쪼개어 깎아 만든 못. 목공사의 수장재에 쓰임. 대못.
l 못머리 : 못의 몸통 위에 조금 넓게 만든 부분. 못대가리(낮은 말).
l 못대가리 : 못의 모통 nl에 조금 넓게 만든 부분. 못머리.
l 나사 : ①철재나 목재에 틀어박는 못. ②그 몸통에 나선형으로 둘려 있는 요철 부분. 못을 틀어 죄면 나사가 있어 빠지지 않게 됨. 목재에 쓰는 것을 나무나사못. 철재에 쓰는 것을 나사라고 함. 나무나사못은 끝이 가늘고 뾰족하며, 철재나사는 모통의 상하가 동일한 굵기임.
l 나사못 : 나무에 박을 때 쓰는 나사를 낸 못. 나무나사 못의 준말.
l 비스 : 작은 나사. 철재에 박는 작은 나사못의 속칭. 불어에서 온 말.
l 소나사못(小螺絲釘) : 작은 나사 못.

   

     

     

한국 건축 용어 Ⅲ

3. 창호철물
l 장식철물(裝飾鐵物) : 창문을 달거나 장식을 대는 철물의 총칭. 장식(준).
l 창문장식(窓門裝飾) : 창문을 달거나 장식으로 또는 보강하여 대는 철물의 총칭. 창호철물, 장식(준).
l 문장식(門裝飾) : 창문장식.
l 백동장식(白銅裝飾) : 가구▪창문 등에 박아 대는 백동판으로 만든 장식이나 창호 철물.
l 주석장식(朱錫裝飾) : 가구▪창문 등에 박아 대는 주석판으로 만든 장식이나 창호 철물.
l 무쇠장식 : 가구▪창호 등에 쓰이는 무쇠로 만든 철물.
l 신쇠 : 큰대문짝의 아래 문장부로 끼우는 쇠. 화금.
l 무쇠신쇠 : 성문 등 큰 대문의 문장부 밑에 끼워 지도리대가 달린 무쇠로 만든 철물. 수철화금.
l 확쇠 : 문지도리의 장부가 끼이는 구명(확)이 있는 쇠 신쇠를 받게 됨.
l 구멍쇠 : 확쇠.
l 무쇠확쇠 : 큰 대문의 문장부 신쇠 등이 끼여 돌게 된 구명을 낸 무쇠로 만든 철물.
l 장부쇠 : 창문의 상하 장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씌우는 쇠. 장부금. 장부철.
l 철엽 : 화살▪총탄 등을 막아 낼 수 있도록 성문 등의 표면에 붙인 철판쪽.
l 간철 : 장부쇠를 고정하기 위하여 사이에 끼워 대는 쇠.
l 쇠신 : 말뚝 끝에 대어 뾰족한 끝이 찍기거나 꺾어지는 것을 보강하는 철물.
l 대접쇠 : 대문 둔테의 장부 구멍 가장 자리에 대는 말굽형의 쇠.
l 찰쇠 : ①대문짝이 대접쇠에 닿는 부분에 대는 쇠. ②풍수의 지관이 몸에 지니고 다니는 지남철.
l 패철 : 찰쇠. ①지관이 몸에 지니고 다니는 지남철. ②대문 장부 옆에 나무가 닳지 않게 박는 쇠. 대접쇠 위를 스치며 돌게됨.
l 패금 : 찰쇠.
l 정첩 : 문틀에 여닫이문을 달 때 한 쪽은 문틀에 , 다른 한 쪽은 문짝에 고정하여 여닫는 지도리가 되는 창호철물. 경첩.
l 경첩 : 정첩.
l 보통정첩 : 네모진 모양으로 된 정첩. 네모경첩.
l 나비정첩 : ①나비 모양으로 된 정첩. ②보통형의 정첩을 말하기도 함.
l 약과정첩 : 나비정첩. 과줄판에 찍어낸, 약과 비슷한 데서 온 말.
l 약과장식(藥果裝飾) : 장롱의 문에 박는 네모꼴로 된 장식쇠.
l 등낸정첩 : 문짝과 문틀에 감추이고, 축대부분만 내보이게 된 정첩. 보통청첩▪나온정첩에 대비하는 말.
l 내밀이정첩 : 문을 열면 벽면보다 문짝이 외부 또는 내부로 나오게 되는 정첩.
l 나온정첩 : 축부분이 문밖으로 내민 정첩. 창문선 등이 지장이 되어 문을 옆벽에서 열어붙일 수 없게 될 때 정첩의 축이 내밀어져 있어 여닫기 좋게 나비를 넓게 만든 정첩.
l 숨은정첩 : 닫은 문의 바깥 쪽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정첩. 고급장롱 등에 쓰임.
l 면붙이정첩 : 표면에 붙이게 된 정첩.
l 오르내리정첩 : 회전마디가 나선형으로 되어 문을 열면 약 1.2cm가량 문짝이 올라 가게 되는 정첩. 마루에 깐 융단 때문에 문을 열 수 없을 경우에 쓰임.
l 둥근겹정첩 : 끝이 둥그스름하게 되고 두번 겹접게 된 정첩.
l 동쩌귀정첩 : 수틀쩌귀와 암톨쩌귀 모양으로 된 정첩. 창문을 열어들면 떼어 낼 수 있게 됨.
l 자유정첩 : 용수철을 장치하여 안팎으로 여닫게 되고, 열어 놓으면 저절로 닫혀지는 정첩. 용수정첩.
l 동개철 : 대문짝의 상하장부가 쪼개지지 않도록 싸서 대는 널찍한 쇳조각. 감자비쇠.
l 돌쩌귀 : 철판을 둥글게 감아 구멍을 내고 다른 하나는 장부를 감아 넣어 구멍에 꽂아 창문을 돌려여는 창호 철물. 지도리철물. 수톨쩌귀와 암톨쩌귀가 한 벌로 됨.
l 돌적이(乭迪耳) : 돌쩌귀. 차음표기.
l 암톨쩌귀 : 철판을 궁들게 감아 축대가 끼이는 구멍이 있는 돌쩌귀의 한 부분, 대개 수톨쩌귀의 밑에 대며 문틀 또는 문선에 박아 댐.
l 수톨쩌귀 : 암톨쩌귀의 구멍에 끼우는 축대가 달린 돌쩌귀의 한 부분. 대개 암톨쩌귀의 위에 대며 문짝에 박아 댐.
l 호리병 돌쩌귀 : 호리병 모양으로 위아래가 굵고 중간이 조금 가늘게 된 돌쩌귀.
l 지도리 : 돌쩌귀▪문장부 등의 총칭. 문추(門樞).
l 바닥지도리 : ①자재여닫이문의 문장부가 끼여 돌게 되는 창호 철물. ②자재여닫이문이 열리면 저절로 닫혀지는 바닥장치(플로어 힌지)을 대고, 위는 문장부 모양의 철물(피봇 힌지)을 댐.
l 지도리정첩 : 창문의 상하에서 지도리로 달아 회전되는 창호 철물. 바닥에 설치하는 것(플로어 힌지) 과 문짝에 다는 것(라버터리 힌지)이 있음. 무거운 문짝에 쓰이며, 문짝의 처짐을 막고, 개폐가 용이하다. 바닥에 쓰는 것은 볼베어링을 장치한 케이스를 바닥에 묻어 두고 문짝의 선대밑에 댄 받이쇠를 기우게 됨.
l 호차(戶車) : 창문 밑에 대어 레일 위를 굴러가게 하는 바퀴. 문바퀴. 일본에서 온 말.
l 문바퀴 : 미서기▪미닫이 등의 창문 밑막이에 파넣어 문이 레일 위를 구르게 하는 바퀴. 호차.
l 창호바퀴 : 미서기창문의 밑에 대어 레일 위를 구르는 창호철물. 호차(戶車). 문바퀴.
l 창도르래 : ①상하하는 오르내리창의 끈이 감겨돌게 되는 선틀상부에 기운 바퀴모양의 철물. ②매다는 문의 위에 대어 상부레일 위를 구르게 된 문바퀴. 활차. 창고패.
l 창고패 : 오르내리창의 선틀에 파넣어 창짝과 추에 맨 끈을 걸어 돌게 되는 도르래 모양의 창호 철물. 창도르래. 활차.
l 달바퀴 : 문짝 위에 대고 위틀에 건너지른 레일을 구르게 하는 바퀴 모양의 창호철물.
l 도르래줄 : 오르내리창의 추와 창짝을 매어 다니는 줄. 면사제, 가는 와이어, 사슬 등을 씀.
l 고패줄 : 오르내리창의 추와 창짝을 매다는 줄. 도르래줄.
l 레일 : 미서기▪미닫이 등의 문틀 또는 홈대에 대어 창문의 바퀴가 구르는 재. 철제▪황동제▪합성수지제▪대나무제 등이 있었음. 길이는 1.82m, 2.73m, 3.64m.
l 행거레일 : 위에 단 미닫이문의 달바퀴를 지지하며 구르게 된 레일.
l 자물쇠 : 창문고리를 끼우고 잠그는 기구. 쇄약.
l 자물통 : 걸쇠를 걸고 따로 끼워 잠그게 하는 쇠통. 열쇠를 꽂아 돌려서 열음.
l 쇄약 : 자물쇠와 열쇠.
l 용자물쇠 : 용의 모양을 새긴 큰 자물쇠.
l 은혈자물쇠 : 열쇠 구멍이 가리어지게 꾸민 자물쇠.
l 통자물쇠 : 걸고리에 따로 끼워 잠그고, 열쇠로 여는 자물쇠.
l 맹꽁이자물쇠 : 서양식 통자물쇠.
l 붙박이자물쇠 : 자물쇠를 따로 끼우지 아니하고 사슬 기타로 고정시켜 놓은 자물쇠. 한문자는 처음 부(付)에 t을 받쳐 만든 한국의 한문자.
l 선자물쇠 : 세로로 길게 되어 수직으로 내리끼우는 자물쇠. 쥐꼬리자물쇠.
l 붕어자물쇠 : 붕어 모양으로 된 자물통.
l 뻗침대 : 걸쇠의 다리.
l 줏대 : 걸쇠의 고리에 끼우는 자물쇠의 꽂이대. 자물쇠의 줏대.
l 열쇠(開金) : 잠근 자물쇠를 여는 쇠. 개금
l 개금(開金) : 열쇠.
l 받침쇠 : 문고리의 밑판으로 대는 장식 철물. 무늬를 새기기도 함.
l 받침 : ①기구 등의 철물을 대는 면에 장식으로 또는 못질한 위를 가리어 대는 장식판. 바탕쇠. 받침쇠. ②주두▪소로의 굽받침의 줄인 말.
l 바탕쇠 : 철물을 대는 면에 장식으로 또는 못을 가리기 위하여 대는 장식판. 받침쇠.
l 자물쇠앞바탕 : 자물쇠 밑에 대는 받침쇠.
l 약과형앞바탕 : 네모진 받침쇠.
l 이마?이쇠 : 문의 상부에 댄 띠쇠형의 장식판.
l 고정쇠 : 도래걸이 모양으로 문이 열리지 않게 고정하는 쇠.
l 배꼽장식 : 부재의 복판에 모양나게 대는 장식.
l 사슬(沙瑟) : 둥근 고리를 여러 개 이어서 만든 줄(차자).
l 쇠사슬 : 철재로 만든 사슬. 쇠고리를 여러 개 이어서 만든 사슬.
l 철색(鐵索) : ①가는 철선(鐵線)을 꼬아 만든 밧줄. ②가늘고 긴 철대의 양끝에 고리를 내어 서로 물리어서 긴 밧줄처럼 쓰이는 것. 철삭.
l 쇠사슬갈고리 : 천도 모양으로 만든 손잡이로 쓰이는 고리.
l 고리 : 문여닫이의 손잡이로 쓰이는 둥근 철물. 문고리▪걸고리▪사슬고리.
l 둥근고리 : 철선을 둥글게 꼬부려 붙이고 배목을 끼운 철물. 대▪중▪소로 구분됨. 원환(圓環).
l 환고리 : 둥근고리. 손잡이로 배목을 쓰거나 거는 데 씀.
l 쇠고리 : 철재로 만든 고리.
l 원환(圓環) : 둥근고리.
l 네모고리 : 사각형으로 된 고리. 방환(方環).
l 방환(方環) : 네모고리.
l 문고리 : 문을 거는 데 쓰는 고리. 둥근고리▪네모고리▪사슬고리 등이 있음.
l 단고리 : 배목에 사슬없이 고리만이 달린 것. 단환(單環).
l 단환(單環) : 배목에 직접 고리를 끼운 것.
l 사슬고리 : 사슬에 고리를 끼워 걸게 된 창호 철물. 외사슬고리▪이사슬고리▪삼사슬고리 등.
l 쌍사슬고리 : 쇠사슬을 두 겹으로 끼워 만든 고리.
l 삼련쌍사슬고리 : 쇠사슬을 네 번 이어 끼운 사슬고리.
l 호로 : 분합문의 아래에 박는 걸고리. 도래.
l 고리받이 : 기둥과 문설주 사이에 건너지른 나무. 문을 열어젖힐 때 문고리가 벽에 닿아 파손됨을 보호하기 위하여 댐.
l 배목(排目) : 문고리를 걸거나 자물쇠를 채우는 구명을 내어 만든 못. 고리에 끼인 것도 배목이라 함.
l 삼배목(三排目) : 배목의 한 쪽은 두 갈래로 다른 쪽은 한 갈래로 되어 배목구멍에 비녀를 채우게 된 배목의 한 가지.
l 비침 : ①정첩▪돌쩌귀▪삼배목 등에 꽂는 축대. ②비녀못. ③동곳.
l 동곳 : 밖에서 열 수 없게 빗장에 세로 끼우는 꽂이쇠 또는 나무.
l 동곳쇠 : 돌쩌귀▪삼배목▪도래쇠 등에 끼어 돌게 되는 꽂이쇠. 축대.
l 갈고리 : ①정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철근이나 볼트 등의 90~180도로 구부린 것. 갈구리. ②끝을 꼬부려 물건을 걸어 당기는 데 쓰는 쇠.
l 갈고량쇠 : 갈고랑 모양으로 생긴 쇠. 갈고리쇠. 갈고랑이. 물건을 끌어잡아 당기는 데 씀.
l 타래쇠 : 태엽같이 둥글게 서린 작은 쇠고리, 문고리 같은 것이 벗겨지지 않도록 꿰어 걸음.
l 갈고리걸쇠 : 끝이 갈고리 모양으로 된 굵은 철선으로 만든 걸쇠.
l 갈고리자물쇠 : 미닫이문 옆 밑에 붙이는 자물쇠.
l 가막쇠 : 한 끝은 감아 고리못을 달고 한 끝은 갈고리쇠 모양으로 꺾어 구부려 배목에 걸도록 만든쇠. 갈고리걸쇠. 넓적가마쇠. 오리목.
l 오리목 : ①가늘고 길게 제재한 목재. ②가막쇠(加幕金). 압항철(鴨項鐵).
l 넓적가막새 : 넓적하게 된 걸쇠. 통자물쇠를 채우게 된 것임.
l 넓적걸고리 : 문짝 등에 자물통을 걸어 잠그기 위하여 쓰이는 철물. 넓적하게 만든 고리의 한 가지. 넓적가막쇠.
l 사슬헛걸쇠 : 밖에서 열쇠 등으로 열지 못하게 안에서 거는 사슬고리로 걸게 된 창호 철물.
l 고두쇠 : 두 재의 구멍을 꿰뚫어 꽂은 메뚜기의 일종.
l 물림쇠 : ①문을 닫으면 꼭 끼어 물리는 철물. 알물림쇠▪메뚜기물림쇠 등이 있음. ②나무를 배접할 때 양쪽에서 꽉 끼이게 물려서 나사를 틀어 죄는 기구.
l 걸쇠 : 문이 열리지 않게 돌리거나 꽂아서 거는 창호철물. 넓적걸쇠. 도래걸쇠▪갈구리걸쇠▪가막쇠▪크래센트 등이 있음. 열쇠를 쓰지 아니하는 헛걸쇠.
l 도래 : ①문이 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데 쓰는 갸름한 메뚜기. ②고삐가 자유로 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굴레 혹은 목사리와 고삐와의 사이에 있는 쇠나무로 된 고리 비슷한 물건. 고리들을 연하여 대고잠이 있어서 뱅뱅 돌게 됨.
l 도래걸쇠 : ①넓적걸쇠의 걸이쇠가 돌게된 창호철물의 한 가지. ②나무쪽을 문옆에 못으로 받아 대어 돌리면 문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
l 오뚜기 : 도래의 딴 이름.
l 꽂이쇠 : 철봉이 원통을 미끄러져 꽂이 받이에 걸쳐 문을 잠글 수 있게 한 창호 철물.
l 고두꽂이쇠 : 꼬두리가 달린 찌름걸쇠로 된 꽂이쇠.
l 양꽂이쇠 : 잠금 손잡이를 돌리면 여닫이문의 상하에서 동시에 걸리게 된 꽂이쇠.
l 꽂이자물쇠 : ①열쇠를 써서 꽂이쇠를 열고 잠글수 잇게 된 것. ②안에서 꽂이쇠를 끼워 잠그면 바깥에서는 열 수 없게 된 창호 철물.
l 오르내리꽂이쇠 : 실린더형의 케이스내에서 상▪하로 움직여 잠그게 된 꽂이쇠.
l 손잡이 : 창문▪서랍▪기구▪가방 등에 손으로 잡는 잡이쇠▪손걸이▪자루 등의 총칭.
l 알손잡이 : 함자물쇠의 손잡이로서 잡는 부분이 알모양으로 둥글게 된 것.
l 돌림손잡이 : 창문의 손잡이가 막대형으로 된 것.
l 걸쇠손잡이 : 철제 창문을 잠그는 철물. 걸쇠받이에 걸쇠가 끼이고 손잡이가 달린 손잡이.
l 꼬리손잡이 : 창호의 여닫는 손잡이를 가죽 또는 꼬리모양으로 늘어뜨리게 만든 창호손잡이.
l 갈고리손잡이 : 갈로리 모양으로 된 손잡이.
l 고두리손잡이 : 서랍▪작은 문 등에 손잡이로 붙이는 꼭지.
l 손걸이판 : 문이나 서랍 등에 대어서 손가락이 걸리게 한 손잡이판.
l 손걸이 : ①손가락이 들어 끼어 여닫게 되는 기구의 손잡이. ②창문을 개폐할 때 손이 들어가 끼이게 된 창호 철물.
l 느림손걸이 : 창호를 여닫는 손잡이의 끝부분이 늘어뜨릴 수 있게 된 것.
l 오목손걸이 : 창호의 울거미에 파넣어 미서기▪미닫이 등을 여닫는 손에 걸리도록 오목하게 들어간 창호 철물. 나무로 된 것도 있음.
l 서랍손걸이 : 서랍 앞에 손가락을 꿰어 당길 수 있게 댄 장식. 느림손걸이. 알손잡이 등 여러 가지가 있음.
l 달개자쇠 : 가구의 문이나 서랍에 박는 곡옥 모양으로 만든 손잡이.
l 문끈 : 손잡이끈.
l 밑판 : 여닫이▪자재여닫이 문짝의 손으로 밀어 여는데 대는 판.
l 손판 : 문이 더러워지지 않게 손잡이의 밑받침으로 대는 판.
l 박쥐형손걸이 : 박쥐 모양으로 새겨 만든 손잡이.
l 활형손걸이 : 활모양으로 구부러진 손잡이. 활형들금(弓形學金).
l 문받이 : 열어젖힌 문이 벽이나 기둥에 닿지 않도록 마루나 벽에 대어 문을 받으며 고정도 할 수 있게 된 창호 철물. 고무를 끼우고 갈고리를 장치함.
l 문버팀쇠 : 열려진 문을 버티어 고정하는 철물. 문을 열면 부딪치지 않게 받혀 걸어 놓을 수 있게 됨.
l 원산(遠山) : 여닫이문 등의 흠대의 중간 마중대가 만나는 곳에 대는 쇠.
l 들쇠 : ①창문을 떠올리어 거는 갈고리. 쇠줏대에 각형 또는 타원형의 고리를 대거나 꺾어 댄 철물. 한 끝을 보꾹에 달고 늘이었음. ②세간의 서랍, 문짝 등에 다는 반달 모양의 손잡이. 조철(釣鐵).
l 분합들쇠 : 대청마루앞 분합문을 처마 밑에 들어 올리고 달아매는 쇠. 말급형으로 된 것과 네모고리로 된 것이 있음.
l 거금 : 들어올려 거는 철물. 들쇠. 달쇠. 걸쇠.
l 갈구리들쇠 : 갈구리처럼 된 들쇠.
l 달쇠 : 문짝을 보꾹이나 처마 밑에 달아 거는 철물. 거금. 들쇠. 고정할 수 있게 된 창호 철물. 고무를 끼우고 갈고리를 장치함. 들쇠.
l 등자쇠(鐙子鐵) : ①들쇠의 딴이름. ②걸쇠.

한국 건축 용어 Ⅲ
4. 석재
l 석재(石材) : 건설공사에 쓰이는 돌. 종류는 화성암▪수성암▪변성암 등이 있고 화강감▪안산암▪응회암▪사암▪점판암▪대리석 등이 사용됨.
l 돌결 : 돌이 자연적으로 갈라지는 금. 결정입자의 상태, 혼합상태, 배열상태 등에 따라 돌결을 분류함.
l 설리 : 석재를 구성하는 광물의 크기▪배열▪모양 등의 상황이나 조직▪결정질(結晶質). 파리질(坡璃質)▪입상(粒牀)▪반상(斑牀) 등의 조직상태.
l 석절(石節) : 암장(岩墏)이 냉각에 수반되어 수축과 압력으로 생긴 금. 돌결.
l 돌무늬 : ①수성암 또는 변성암 등에 포함된 이색물질로서 나타나는 무늬모양. ②대리석 등에 나타나는 아롱진 무늬. ③돌면에 있는 일정한 구성조직에 따라 나타난 무늬.
l 얼룩무늬돌 : 대리석 따위에 무늬가 어른어른하게 난 것.
l 문돋이돌 : 어른어른한 무늬가 돋아 있는 돌. 얼룩무늬가 있는 돌.
l 대리석(大理石) : 석회암(石灰岩)이 고온▪지압 등으로 변질된 돌. 광택이 나고 색조가 아름다운 석재. 방해석질(方解石質) 석회암 이외에 백운암(白雲岩)▪사문암▪사회암 등의 탄산석회(炭酸石灰)가 아닌 것도 포함됨. 중국 운남성 대리 지방에서 많이 나므로 대리석이라 함.
l 화문석(花紋石) : 대리석의 일종. 장식용 석재 중에서 고급재로 쓰이며 열▪산 등에는 약함.
l 화성암 : 땅속에서 용해된 암장이 지표나 지하에서 응고하여 이룬 암석. 화산암(花山岩). 주로 석영▪장석▪운모▪회석▪각섬석 등이 주성분임.
l 점판암(粘板岩) : 점토분이 물에 밀려내려 침전 응고된 수성암. 석질이 치밀하고 얇게 떼어지므로 지붕슬레이트 등으로 쓰임.
l 응회암(凝灰岩) : 화산회가 지상 또는 수중에서 퇴적 응고하여 생긴 암석.
l 현마암 : 장석(長石)▪석영(石英)▪운모(雲母)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각섬석 등의 유색 광물. 변성암의 한 가지. 화성암(化成岩)과 수성암(水成岩)으로 된 것도 있음. 화강편마암.
l 화강암(花崗岩) : 석영▪장석▪운모▪회석▪감섬석 등이 주성분인 화성암의 일종. 질이 견고하며 내구성▪강도가 크고 아름다우며, 흑운모화강암과 배궁모화강암으로 나눔.
l 안산암(安山岩) : 화산이 터질 때에 쏟아져 나온 용암이 굳어져서 이루어진 화성암의 한 가지.
l 변성암 : 지각 변동▪지열▪압력▪암장▪화산 작용 등에 의하여 그 조직이나 성질이 변한 암석. 수성암 또는 화성암의 편상(片牀) 암석으로 됨. 편마암▪편암▪변질석회암▪사문암▪석면▪활석 등.
l 현무암(玄武岩) : 잿빛 또는 검은 빛의 화산암. 사장석▪휘석(輝石)▪감람석▪자철광을 주성분으로 사는데, 단단하며 기둥 모양으로 쪼개짐.
l 사암 : 모래가 퇴적 교착되어 생성된 수성암. 건축▪토목용 또는 숫돌용재. 사질암.
l 사문암 : 감람암(橄欖岩)▪휘암(輝岩)▪각섬암(角閃岩)▪섬록암(閃綠岩)이 변질된 것. 사회암(蛇灰岩)과 동질임. 녹색 또는 흑지방색(黑脂肪色)을 띠고 질이 매우 약하나 무늬가 있어 아름다우므로 실내장식용 석재로 쓰임.
l 섬록암(閃綠岩) : 단단하고 검푸른 화성암. 녹재▪회록색을 띠고 단단함.
l 석회암(石灰岩) : 탄산석회로 생성된 수성암의 총칭. 다공질 석회암▪치밀석회암(석회암대리석)▪입상 또는 인상 석회암이 있음.
l 수성암(水成岩) : 바다나 호수 등의 물속에가라앉아 쌓여서 된 암석의 총칭. 응회석▪사질암▪점토질암▪석회암▪대리석▪사문암▪백운암▪규조토▪석고.
l 편암(片岩) : 변성암의 한 가지.
l 이암(泥岩) : 점토나 실트가 건조▪압력 등의 작용에 의해서 고결하여 된 암석.
l 속돌 : 화산의 용암이 갑자기 식어서 된 다공질의 가벼운 돌.
l 부석(浮石) : ①화산에서 분출된 다공질의 돌. 가벼워서 물에 뜸. 또 수면에서 반쯤 드러나 보이는 들뜬 것같이 보이는 암석. ②바위에서 석재를 떠내는 일. 채석(採石). ③속돌(광산). ④공사에 쓰고 남은 석재.
l 푸석돌 : 암석이 풍화되어 푸석푸석한 돌.
l 버력 : ①수중의 구조물의 기초부를 만들거나 저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그 부근에 처넣는 잡석. ②유용한 광물의 성분이 섞이지 아니한 잡석(광산).
l 바위 : 부피가 큰 돌. 지름 1m 이상의 돌.
l 전석(轉石) : 암반에서 떨어져 구르거나, 흐르는 물에 밀려 나가 흙에 묻히어 있는 둥그스름하게 된 돌.
l 경석 : 다공질의 담회색 또는 백색의 가벼운 암석(岩石). 화산회▪화산자갈▪화산암 등. 경량골재 또는 특수 장식재로 쓰임.
l 경석(硬石) : 비중이 2.0 이상이고 강도가 놓은 석재. 화강석▪안산암 등. 경질석(硬質石). 10*10*20cm의 시험체의 압축강도가 500kg/㎠ 이상인 것.
l 준경석(準硬石) : 비중이 1.5~2.0 정도의 강도가 낮은 석재. 경질석보다 무르고 연질석보다 굳은 석재. 경질사암▪점판암 등. 중경석. 5cm 입방의 공시체의 내압력이 5~15t인 것. 이보다 귿은 것을 경석, 무른 것을 연석이라 함.
l 연석(軟石) : 비교적 석질이 무른 돌. 사암▪음회암 등. 연질석(軟質石). 10*10*20cm의 시험체로 시험한 압축강도가 100kg/㎠미만의 것을 말함.
l 애석(艾石) : 쑥돌.
l 오석(烏石) : 빛이 검은 파라질의 개각상(介殼牀)의 단구(斷口)가 있는 암석. 비석▪기물 등에 쓰임 흑요석(黑曜石).
l 세석 : 살결이 곱고 흰 화강석의 한 가지 잔돌▪공공▪궁실재로 많이 쓰였다고 함. 세립(細粒)화강암.
l 쑥돌 : 쑥풀의 잎의 빛깔과 같은 검푸레한 화강석의 일종. 강화도에서 산출 됨. 애석(艾石).
l 숙석 : 석공이 잘 다듬은 돌. 가공석(加工石).
l 마름돌 : 채석장에서 대강 크기로 떠낸 돌.
l 톨켜기석재 : 특수 톱으로 두께 2~5cm정도의 넓은 판으로 절단한 석재. 석재면에 톱의 철분이 흡수되므로 물씻기를 잘 해야 함.
l 각석(角石) : 거친 돌을 대강 마름질하여 네모 입방체로 만든 석재.
l 장석 : ①장대석(長臺石). 모지고 긴 돌. ②사장석(斜長石)▪정장석(正長石)으로 구분함.
l 판돌 : ①얇고 넓은 돌. 두께는 15cm내외, 크기는 30~60cm 각 정도의 넓은 돌. 바닥 깔기 또는 벽붙임돌에 씀. ②기계톱으로 켜낸 넓은 돌. 두께 3~6cm, 크기30~90cm각판. 판석.
l 모조석판 : 천연석을 모조한 인조석의 판돌. 두께는 2cm이상의 평판이고 쇠시리▪조각물도 만들 수 있음. 마무리는 물씻기▪다듬질▪갈기 등으로 함.
l 온돌석 : 구들을 놓을 때에 고래를 덮어 높는 평평한 판석. 구들장. 구들돌.
l 구들장 : 구들을 놓는 데 쓰이는 얇게 쪼개 낸 판돌. 구께 5cm내외, 크기 30*40~40*60cm정도의 판돌. 화강석은 약간 푸석진 것으로 만들고, 막생긴 것도 쓰임. 특히 얇고 넓게 쪼갤 수 있는 석질의 점판암 등이 쓰임. 온돌석. 구들돌.
l 함실장(函室張) : 함실 아궁이 위에 놓는 넓고 두꺼운 구들장.
l 장석(場石) : 담장을 쌓는 데 쓰이는 돌.
l 이과석 : 벽▪담 등에 쓰이는 네모진 돌. 두 덩이를 질만한 크기의 돌. 약 40*20*20cm 또는 25cm 각의 돌.
l 사고석 : 한국 주택의 외벽 또는 담 등을 쌓는 데 쓰이는 네모진 돌. 20~25cm 각의 입방체형의 석재. 한 사람이 네 덩이를 질 만한 크기의 돌에서 온 말. 사괴석.
l 견치돌 : 채석장에서 네모뿔형으로 만든 석축에 쓰이는 돌. 면크기 30~45cm 각 정도, 뒤굄길이 40~60cm 정도가 보통 쓰임. 일본 석축에서 온 말.
l 간사 : 대략 20~30cm 정도의 모진 막돌, 간단한 석축 또는 돌쌓기에 쓰임.
l 잡석(雜石) : 건축에 쓰이는 막 생긴 돌.
l 거친돌 : 채석장에서 대강 크기로 떠서 면이 거친 그대로의 돌.
l 막돌 : 지름 20cm 정도의 자연적으로 파쇄되어 생긴 돌. 형태도 일정하지 아니하고 아무데나 쓰는 돌. 20~30cm 크기의 돌. 자연석. 호박돌.
l 자연석 : 자연적으로 암반이 갈라지고 깨어져서 굴러내리거나 흙에 묻혀서 풍화 마모되거나 개울물에 씻기어 둥글고 매끈하게 된 돌의 총칭.
l 호박돌 : 기초잡석 지정▪바닥 콘크리트 지정용으로 쓰이는 둥글넓적한 돌. 직경 20~30cm 정도의 개울산의 천연 석재. 둥근돌.
l 뭉우리돌 : 모진 데 없이 둥글둥글한 돌. 무우석.
l 개울돌 : 개울물이 갈리어 반들하고 둥글게 된 돌.
l 자갈 : 강이나 바다에서 물에 갈리어 반들반들하게 된 작은 돌알. 암석이 자연적으로 붕괴 마모되어 생성된 것. 또는 암석이나 슬래그를 인공적으로 깨뜨려 만든 것.
l 구슬자갈 : 둥글고 알크기가 15mm이하의 작은 자갈. 주약돌. 조약돌.
l 강자갈 : 강에서 채취한 크기 10~35mm 내외의 둥그스름한 돌. 보통 큰크리트의 굵은 골재로 사용됨.
l 산자갈 : ①육지에서 채취한 자갈. ②산의 암석이 부스러져 생긴 작은 돌.
l 화산자갈 : 화산암이 5~40mm 정도의 크기로 부서진 작은 돌. 경량골재로 씀.
l 부순자갈 : 자연암석을 인공적으로 파쇄하여 지름 10~35mm 정도의 크기로 만든 자갈. 큰크리트의 굵은 골재로 스임. 부순돌.
l 깬자갈 : ①큰 자갈을 부수어 만든 잔 자갈. ②인공으로 암석 또는 슬래그를 깨뜨려 만든 자갈.
l 막자갈 : 체가름으로 선별하지 않은 크고 작은 것이 섞인 자갈. 철근 콘크리트의 골재로서 부적당한 크기의 자갈.
l 조약돌 : 잘고 둥글둥글한 돌.
l 동돌 : 한두 개만으로도 한 짐의 무개가 넘는 큰 버력.
l 탄각 : 석탄을 때고 나오는 재 중에 덩어린진 것. 석탄 재강. 경량 콘크리트 골재로 쓰임.
l 부순돌 : 자연암석을 인공적으로 자갈의 크기 만큼으로 깬 돌.
l 막부순돌 : 쇄석기로 부수어 체 가름하지 아니한 크고 작은 것이 섞인 돌.
l 반지기자갈: 모래가 섞여 있는 자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