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건축 용어 Ⅱ 1. 일반 l 실(室) : ①사람이 거처하거나 일을 하는 방. ②현대적 용도에 쓰이는 간. l 청(廳) : ①마루를 깐 방. 마루방. ②크고 넓게 되어 사무를 보는 방. ③사무를 보는 기관. 관청 등. l 방(房) : 상시 거처하는 간. 대개 주택에서 온돌을 꾸며 놓은 것을 말함. 온돌방. l 간(間) : ①사방 네 기둥 또는 벽으로 둘러 싸인 공간. 방▪실▪청 따위. ②사방 네기둥오 둘러싸인 방의 면적을 헤아리는 단위. 칸. 8자 한칸. 6자 대청 등. ③곡척(曲尺) 6자의 길이를 단위로 하는 말. 1간 길이는 1.818m여가됨(일본에서 온 말). l 거실(居室) : ①거주▪집무▪작업▪집회▪오락 기타 이와 유사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방. ②주택에서 가족들의 생활공간으로 주로 쓰이는 방. l 거처실(居處室) : 주택에서 사람이 향상 기거하는 방. 거실(居室). l 안방 : ①한식 주택의 안채에 있어서 가장 넓고 주거의 근본이 되는 방. ②집의 안채에 부엌이 딸리고 주로 주부가 쓰는 온돌방. 내실. l 내실(內室) : ①한식 주택의 안채에 있어서 주거의 근본이 되는 큰 방. ②집안채의 부엌이 붙은 방. ③주부가 쓰는 방. l 정방(正房) : ①몸채의 안방 또는 대청. ②몸채. 정당(正堂). 내당(內堂). l 큰방 : ①안채에 있는 주로 부인이 거처하는 넓은 방. 안방. ②절에서 여러 스님이 항시 기거하는 넓은 방. 대방. l 대방 : 절에서 여러 스님들이 함께 거처하는 넓은 방. 큰방. l 침실(寢室) : ①주로 잠자는 곳으로 쓰이는 방. ②침대를 설치하고 잠잘 때만 쓰는 사실(私室). 침방. l 침방(寢房) : 잠자는 곳으로 쓰이는 방. 침실(寢室). l 규방(閨房) : 안방. 도장방. l 동방(洞房) : 잠자는 방. 침실(寢室). 침방(寢房). l 화촉동방(華燭洞房) : 첫날 밤에 신랑신부가 자는 방. 신방. l 녹당(綠堂) : 가난한 집의 여자의 방. 녹실(綠室). l 도장방 : ①안방. 집안채의 부엌이 붙은 방. ②아낙네가 거처하는 방. 규방(閨房). l 동온돌(東溫突) : ①대궐 안의 침전 동쪽에 있던 방. ②남향한 대청의 동쪽에 있는 온돌방. l 서온돌(西溫突) : ①대궐 안의 침전 서쪽에 있는 방. ②남향집의 서쪽에 있는 방. l 대청(大廳) : ①한식 건물에 있어서 바닥을 마루널로 꾸민 넓은 방. ②관청▪공공건물의 마루를 깐 큰 방. ③사사집의 몸채 가운데에 있는 마루. l 대청마루 : →대청. l 어간대청(御間大廳) : 방과 방 사이 중앙 어간에 있는 큰 마루 방. l 육간대청(六間大廳) : 사가에서 여섯 간이나 되는 큰 대청. 보통 정면 3간. 측면 2간으로 함. l 마루방(魔樓房) : ①바닥에 마루널을 깐 방. 안방과 건넌방 사이에 마루를 깐 방. 대청마루. ②널을 깔아 놓은 방. 사방을 벽이나 창문으로 막아 놓은 간. l 어간마루 : 방과 방 사이에 있는 마루방. l 건넛방 : 한식주택의 안방에서 대청의 건너편에 있는 온돌방. 건넌방. 월방. l 건넌방 : 한식 주택 안방에서 대청의 건너편에 있는 온돌방. 몸채에서 안방 다음으로 주요하게 쓰이는 방. 월방. 건넛방. l 월방(越房) : 건넌방. l 아동실(兒童室) : 아이들이 거처하는 방. l 구석건넌방 : 건넌방 뒤에 마루가 있고 거기에 연결되어 있는 방. l 아랫방(下房) : 샛장지 등으로 막은 방 두 간이 연달아 있을 때 불목에 가까운 쪽에 있는 방. ↔웃방. l 아랫간(下間) :아랫방. l 똘아랫방 : 몸채 아래 안마당 쪽에 있는 방. l 웃방(上房) : 샛장지 등으로 막은 방 두 간의 연달아 있을 때 불목에서 먼 쪽에 있는 온돌방. ↔아랫방. l 웃간(上間) :웃방. l 바깥방 : 바깥 채에 딸린 방. l 행랑방(行廊房) : ①대문의 양쪽 또는 문간 옆에 있는 방. ②행랑채에 있는 방. l 함실방(函室房) : 부엌이 없이 방의 구들안에 불을 때게 된 온돌방. l 온돌방(溫突房) : 방바닥 밑에 구들고래를 켜고 구들장을 놓아 불을 때어 난방하게 꾸민 방. 구들방. l 구들방 : 구들장을 놓아 불을 때어 난방할 수 있게 만든 방. 온돌방. l 장판방(壯版房) : 구들을 놓고 그 위 방바닥에 기름먹인 장판지로 바른 방. l 지대방 : 절의 큰 방의 머리께에 있는 작은 방. 이부자리▪옷 또는 행장 등을 넣어 둠. l 탕방(一房) :방고래를 장대석으로 놓고 그 위에 굄돌을 써서 넓고 큰 구들장을 놓아 만든 방. l 욱실 : 구들을 놓아 몹시 더운 방. l 가방(假房) : 겨울에 외풍을 적게 하려고 길거나 큰 방 안에 장지를 들이어 막은 아랫방. 흔히 이중천장도 꾸미며, 여름에는 장지와 이중천장은 떼어 내기도 함. 방옥(房屋). l 현관(玄關) : 건축물에 들어가는 문간. 주현관(정문간). 안현관(內玄關). 현문(玄門). l 문간(門間) : 출입하는 문이 있는 곳. 현관. 대문간. l 대문간(大門間) : 대문이 달린 간. l 정문간(正門間) : 한 건물에서 정면에 있는 가장 중요한 문간. 바깥 사랑채에 있으므로 밖문간의 뜻으로 쓰이기도 함. l 밖문간(外門間) : 주택의 바깥쪽 또는 바깥채에 있는 대문간. 바깥대문간. ↔안대문. 안문간. l 안문간(內門間) : ①밖문간의 안쪽에 있는 문간. ②안채에 달린 문간. l 문간마루 : 주택에 있는 방. 행랑채의 대문간 옆에 붙은 방. l 서사실(書士室) : 서사가 기거하거나 사무를 보는 방. l 사처방 : 윗사람이나 점잖은 손님이 묵고 있는 방. 하처방(下處房). l 손창방(一房) : 몸채에서 떨어져 있는 방. l 서재(書齋) : 주택 등에서 도서를 갖추어 두고 독서▪시▪문학 또는 학문 연구 활동을 하는 방. l 사랑방(舍廊房) : ①사랑채(몸채와 떨어져서 지은 채)의 으뜸 되는 방. ②바깥주인이 거처하는 방. 남자 손님의 응접▪시서(詩書)▪. 업무▪글방 등의 용도에 쓰임. l 큰사랑(大舍廊) : 한 대지 내의 주택에서 둘 이상의 사랑방을 꾸몄을 때 바깥편에 있는 제일 큰 방. ↔중사랑. 작은 사랑. l 작은사랑(小舍廊) : 자질(子姪)이 쓰는 사랑. 소사랑. l 바깥사랑(外舍廊) : 한 대지 내에서 건물의 바깥편에 있는 사랑방. 제일 큰 방으로 하므로 큰사랑방이 함. l 안사랑(內舍廊) : 바깥사랑 안쪽에 위치한 사랑. 중사랑(中舍廊) ↔바깥사랑(外舍廊). 큰사랑방. l 응접실(應接室) : 손님을 맞이하여 접대하는 방. l 손님방 : 손님을 맞아서 접대하거나, 손님이 유숙하는 데 쓰이는 방. l 객실(客室) : ①손님방. ②여관▪호텔 등에서 손님이 묵는 방. l 객청(客廳) : ①제사때 손님이 거처하도록 만든 대청이나 방. ②손님을 모시고 숙시케 하는 방. 손님방. 또는 그 집채. l 봉놋방 : 주막집 대문 가까이 있는 여러 사람이 합숙하는 큰 방. 주막방. l 배방(陪房) : 하인들이 거처하는 방. l 봉당 : 헛간▪퇴간(退間) 등에 마루나 온돌을 놓지 아니하고 바닥흙 그대로 다지거나, 강회 백토 반죽 다짐으로 한 바닥. 토방(土房). l 토방(土房) : 바닥에 마루널을 깔지 아니하고 흙다짐으로 한 방. 봉당. l 토마루 : 마루널을 쓰지 않고 흙바닥으로 된 방. 토방(土房). l 뜰방(一房) : 토방. 뜰방(충청 방언). l 웃목 : 방구들의 불아궁이에서 가장 먼 쪽. l 아랫목 : 방구들의 불아궁이 쪽, 가장 따스하고 상좌로 치는 곳. l 상판 : 절의 큰방의 웃목. 오고가는 손님들이 들어 앉음. ↔하판. l 목외(木外) : 사랑방의 아래 웃칸을 막아 놓은 웃칸. 아래칸에 주인이 좌정하고 손님이 웃칸에서 들어와 인사함. l 부엌 : ①음식을 만드는 곳. 주방. 숙수간(熟手間). ②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곳. 과방(果房). l 주방 : 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곳. 부엌. l 내주방 : 궁궐 또는 대가집에서 대비▪중전의 수라 또는 웃어른의 음식을 마련하는 곳. l 정지 : ①부엌(방). ②정주간. l 정주간 : 부뚜막 안쪽에 벽이 없이 온돌을 꾸미어 방바닥을 곁들인 부엌. l 바당간(一間) : 부엌(함경 방언). l 헛간부엌 : ①헛간에 임시로 부뚜막을 꾸민 부엌. ②방에 붙은 헛간에 부뚜막을 설치한 것. l 한뎃부엌 : 한대에 간단히 따로 솥을 걸고 쓰는 부엌. l 반빗간 : 반찬을 만드는 간. l 숙수간(熟手間) : 잔치 또는 제사 때에 음식 만드는 간. 숙설간(熟設間). 숙수방(熟手房). l 숙설간(熟設間) : 잔치때 음식을 만드는 방. l 숙설청(熟設廳) : 나라의 잔치때에 음식을 만드는 곳. l 배선실(配膳室) : 배선대▪식기장 등을 설비하고, 여러 밥상을 차리거나 음식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 l 찬간(饌間) : 반찬을 만들거나 보관하여 두는 방. 찬마루. 찬방. l 찬방(饌房) : 반찬을 만들거나 반찬거리 또는 만든 반찬을 넣어 두는 방. 찬간. l 찬마루 : 찬간. l 찬광 : 반찬거리를 넣어 두는 광. l 식기실(食器室) : 식기를 넣어 두는 간. 기명실. l 보자실(褓子室) : 침대 시트▪식탁보▪커튼 따위를 간직하는 방. l 과방(果房) : ①숙설간. ②잔치때에 장만한 음식을 그릇에 담아 보내는 간. 대개 부엌 다락 위에 임시로 두고, 다락창 넌출로 음식을 내보냄. l 어간(御間) : ①건물의 중안간. 정간(正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되어 있을 때 그 중앙에 있는 간. 대개 가장 넓은 간으로 꾸밈. 중앙간. l 정간(正間) : 건물의 중앙에 있는 간. 어간(御間). l 협간(夾間) : ①어간(御間)의 양측에 있는 주간(柱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된 건물에서 중앙간 다음에 있는 간. 대개 중앙간 보다 작게 함. l 협실(夾室) : 안방 또는 주실. 작은 방. 협방. l 협방(夾房) : ①주실에 딸린 작은 방. ②작게 꾸민 방. l 박은방(小房) : 좁은 한 간의 방. 소방. l 골방 : 안방 또는 사랑방 따위에 딸린 작은 부속실. 안방 골방 등. l 머릿방(一房) : 안방 뒤나 옆에 붙어 있는 작은 방. 골방. l 샛방(間房) : 중요한 두 방 사이에 있는 작은 방. l 곁방 : 주실의 옆에 딸리어 있는 작은 방. l 모방 : 방의 한구석에 딸린 작은 부속실. l 뒷방 : ①주요한 방의 뒤에 딸린 작은 방. 후간. ②뒤쪽에 있는 방. l 후간(後間) : ①뒷방. ②방의 뒤쪽에 있어 반침으로 쓰이는 작은 간. l 세간방 : 세간살이를 넣어 두는 방. 골방. 넓은 반침 따위. l 반침(半寢) : ①큰방에 붙은 작은 실. 궁중말로서 반간방(半間房). ②침구(寢具)▪의류(衣類) 등을 간수하는 간. l 벽장(壁欌) : ①바람벽에 잇대어 작은 문을 달아 만든 장. ②방의 웃목이나 옆벽의 상부에 달아내어 꾸민, 세간을 두는 곳. l 사당벽장(詞堂壁欌) : 별채로 사당을 꾸미지 않고, 대청 또는 웃방의 한 부분에 벽장을 꾸미고 신위를 모셔 두고 제향하는 곳. l 개흘레 : 기둥 바깥 처마 밑에 달아 낸 작은 간이나 벽장. 옷▪세간 등을 넣는 곳. l 붙장 : ㄱ자집에서 부엌 바깥 쪽 안방 옆에 붙여 만튼장. 간단한 그릇▪양념 등을 간직하는데 쓰임. l 퇴(退) : ①원집채에 물려서 달아 낸 간(間). 또는 마루. 퇴간. 툇마루. ②원집채 주위에 딴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좁은 간살 또는 집채. l 퇴간(退間) : ①건물의 내진 밖에 달아 낸 내진 보다 폭이 좁은 외진(外陳)의 주간(柱間). ②정면이 여러 간으로 된 건물에서 좌우 끝 쪽에 있는 간. 대개 협간 보다도 작게 함. ③몸채 앞뒤에 달린 간. 또는 덧달아 낸 칸. 물림간. 툇마루. 툇간. l 툇마루간 : ①좁고 길게 된 퇴간에 놓은 마루. ②원마루 밖에 좁게 달아 낸 마루. 실 마루▪쪽마루 등. l 반간퇴(半間退) : 몸체의 반 간 정도의 나비로 달아 낸 퇴. l 돌퇴 : 건물의 갓 둘레에 붙인 퇴간. l 전후퇴(前後退) : 건물의 전후면(前後面)에 퇴간(退間)을 둔 것. l 전퇴(前退) : ①건물의 전면(前面)에 붙인 퇴간(退間). ②건물의 앞에 둔 물림간. l 뒷퇴(後退) : 집채의 원간살의 후면에 따로 기둥을 세워 달아 꾸민 퇴간. l 회랑퇴(廻廊退) : 집채의 원간살의 주위에 따로 기둥을 세워 붙여 지은 퇴간. 돌퇴.
*참고 문헌 ☞ 1972 ‘건축구조 도해’ 건설연구회 편저 발행 ☞ 1978 ‘건축용어사전’ 김평정 편저 ☞ 1983 ‘올바른 건설현장용어집’ 대한 건설협회
|
한국 건축 용어 Ⅱ 1. 공공건물 l 뒷간 : 뒤를 보는 간. 변소. 화장실. 측간. l 측간(廁間) : 뒤간. 칙간. l 안뒷간(內廁間) : 안채의 뒤쪽에 딸린 뒷간. 아녀자가 주로 씀. l 한데뒷간 : 집의 울 밖에 만들어 놓은 뒷간. l 광 : 주택에서 세간 따위를 넣어 두는 작은 곳간. 고방. l 숫간(一間) : 몸채 뒤에 작고 낮게 지은 광이나 객실. 시골 집에 많음. l 곳간(庫間) : 곡물이나 물건을 넣어 두는 간. 창고. 곡간(穀間). l 고방(庫房) : 바닥을 온돌로 꾸미고 온갖 물건을 넣어두는 방. l 장간(醬間) : 장독▪항아리 등을 넣어 두는 간. 장독간. l 장독대 : 장독을 올려 놓게 만든 대. l 김장광 : 김장독을 넣어 두고 김장을 해넣는 창고. 보통 지하실 창고로 함. 사철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 되는 곳이어야 함. l 연료간(燃料間) : 신탄을 넣어 두는 곳. l 신탄광 : 연료간. l 잿간 : 불티재를 모아 두는 헛간. l 헛간(虛間) : ①곡물▪건초 등을 임시로 수장하는 방. ②물건이나 기구 등을 놓아 두는 창고(재래 주택에서는 문이 없는 경우가 많았음). l 허청(虛廳) : ①청판(廳板)이 없이 흙바닥으로 된 간(間). 공청(空廳). ②바닥 마루나 반자를 꾸미지 아니하고 창문도 달지 아니한 간. 헛간(虛間). ③변하여 옹이가 빠지거나 틈이 나서 비어 있는 작은 구멍. l 헛집 : ①지붕 서까래를 건 다음 용마루▪박공마루 등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그 위에 덧 꾸민 지붕. ②지붕만을 씌운 집. 헛지붕집. l 연자방앗간(硏子一間) : 연자매로 곡식을 찧는 방앗간. 연자맷간. 연자간. l 연자맷간 : 연자방앗간. l 방앗간 : 방아로 곡식을 찧거나 빻거나 하는 곳. 또는 그 집이나 간. 정미소(精米所). 도정공장(搗精工場). l 외양간 : 소를 먹이는 간. l 마구간 : 말을 사육하는 간. 또는 따로 지은 집. 말간. l 구사(廐舍) : 마구간. l 마방(馬房) : 마구간. 마방집. l 경비실(警備室) : 한 구역 안의 경비를 하는 인원이 있는 실. h는 경비를 하는 곳. l 파수간(把手間) : 한 구역 안의 경비를 보는 간. 경비실. 망루. l 참간(站間) : 일하는 인원이 모이거나 들러서 잠깐 쉬는 간. l 다락방 : ①지붕 속을 이용하여 설치한 작은 방. 천장 높이가 낮고, 활동 공간이 적으므로 창고 등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음. ②다락처럼 높이 꾸민 방. ③지붕속에 꾸민 방. ④예수가 12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베푼자리. 예수살렘 서쪽에 있었던 마가의 어머니인 마리아의 집이 라고도 함. l 다락 : ①부엌 천장 위에 이층처럼 만들어서 물건을 두는 곳. 안방에서 드나듦. ②다락같이 된 집. 누(樓)다락. 누각(樓閣). 다락집의 준말. ③지붕 속에 꾸민 작은 방. 다락방. l 더그매 : 지붕 밑과 천정 사이의 공간. 또는 그곳에 꾸민 작은 방. 보꾹층. l 애틱 : ①지붕 밑 보 위에 있는 다락방. ②르네상스 건축에 있어서 처마 끝을 감추기 위해 처마 돌림띠 위에 만든 일종의 파라페트로서 언타블러 처의 일부 또는 그 부분에 만든 중이층. l 고미다락 : ①고미와 보꾹 사이의 빈 곳. ②양옥의 애틱. l 쇠다락 : 외양간 위에 꾸민 다락. l 보꾹 : 지붕보의 상부 지붕 밑 부분. 지붕 속. l 보꾹층 : 지붕 속에 있는 방. 또는 그 층. 더그매방 l 치장보꾹 : 지붕 속을 제고몰 반자로 하여 치장 마무리한 부분. l 양첨(凉檐) : 볕을 가리기 위하여 따로 달아 낸 차양. l 양실(凉室) : 햇볕을 가리기 위하여 방 또는 마루 앞 처마 끝에 덧달아 낸 집. 양첨. l 차일(遮日) : 햇볕을 가리려고 치는 포장. 천포(天布). l 한데 : 사방을 막거나 덮지 아니한 곳. 집채의 바깥. 노천(露天).
한국 건축 용어 Ⅱ 1. 가구- 일반▪장롱 l 가장집물(家藏什物) : 집안의 온갖 세간. 가집(家什). 가장집기. l 곡목가구(曲木家具) : 무른 목재 덩굴나무 등을 구부려 만든 가구. 곡목은 화열(火熱)▪삶기▪ 찌기 등으로 연하게 하여 구부림. 목재는 등나무▪너도밤나무 등이 쓰임.
2. 가구- 거울▪기물▪등롱 l 주련 : 그림이나 글귀를 쓰거나 새겨서 기둥에 걸러 두는 물건. 또 그 연구(聯句). 영련(楹聯). l 주련판(柱聯板) : 기둥에 붙이는 연구(聯句)을 새긴 판. l 목주련(木柱聯) : 널판대기로 만든 주련. 주련판. l 족자(簇子) : 그림이나 글씨를 써서 걸게 만든 두루마리. 축(軸). 떼어서 말아 둠. l 액자(額字) : ①현판에 쓴 큰 글자. ②그림이나 글을 써서 거는 틀. 액틀. 편액. l 현판(懸板) : 문 및 전각(殿閣) 등의 처마 밑에 건물 이름을 새긴 널액자. 또는 틀. l 편액(扁額) : 종이 비단 또는 널빤지에 그림▪글씨 등을 그리거나 써서 벽이나 문 위에 걸어 놓는 액자(額字). 편제(扁題). l 편제(扁題) : →현판. 편액(扁額).
한국 건축 용어 Ⅲ 1. 일반▪목재 l 목재(木材) : ①나무로 된 재료. ②재목(材木). l 원목(原木) : 제재하기 전의 통나무. 통나무와 만각재. l 통나무 : 아직 제재하지 않은 둥근 원목. 껍질만 벗겨낸 목재. l 두리목(豆里木) : 둥근 재목. 통나무. l 반쪽통나무 : 통나무를 절반으로 가른 재목. 연목누리개 등에 쓰임. l 원재(元材) : 제재목으로 쓰이는 나무. 원목. 통나무와 만각재로 구분됨. l 궁재(宮材) : 궁궐 건축에 쓰고자 마련된 목재(화성의궤). l 부등(不等) : 재목이 굵고 길이에 따라 구분하는 원목. 대부등(大不等) ▪중부등(中不等) ▪소부등(小不等)으로 대별함. l 누주(樓柱) : 지름 50cm 정도, 길이 5m 정도로서 이층 통재기둥(누각기둥)으로 쓰이는 큰 목재. 뗏목으로 운반함. l 원체목(圓體木) : 둥근 통나무. 원목(原木). 건축의 체목으로 쓰임. l 둥굴이 : ①껍데기를 벗긴 통나무. ②둥글게 제재 또는 치목한 나무. l 인거재 : 사람이 톱질하여 제재한 재목. l 벽련목(劈鍊木) : 산판에서 통나무를 대강 네모나게 다듬은 재목. l 제재(製材) : 수목을 벌목하여 동강낸 원목을 톱으로 켜서 소요의 치수와 형태로 만드는 일. l 제재목(製材木) : 기계톱으로 오려낸 목재. l 정련목(精鍊木) : 손질을 잘한 재목. l 제재치수 : 제재시의 톱날의 중심간 거리로 표시하는 목재의 치수. l 제재정치수 : 제재하여 나온 목재 자체의 정미치수. l 마무리치수 : 제재목을 치수에 맞추어 깎고 다듬어 대패질로 마무리한 치수. 설계도면에 지시된 치수는 창문틀에 있어서는 제재치수, 창문짝에 있어서는 마무리치수로 함. 마감치수. l 각재(角材) : 사가형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오림목. 중각재▪대각재 등으로 대별함. l 평각재(平角材) : 나비가 두께의 1.5배 내외로 된 각재. 두께 5~10cm, 폭 7.5~20cm인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정각재. l 오리목 : 단면이 작은 제재목. l 띠장재 : 두께 5cm 이하, 나비 10cm 미만의 단면으로 제재한 목재. l 체목(體木) : 나무구조 건축물의 뼈대로 쓰이는 목재. 기둥▪보▪도리 따위의 뼈대가 되는 재. l 서돌 : 서까래▪도리▪보▪기둥 따위의 중요한 체목을 통틀어 이르는 말. l 연목(椽木) : 서까래, 또 서까래로 쓰이는 통나무. 대▪중▪소연목으로 구분한 (화성성역의 궤). l 정척물(定尺物) : 길이의 규격에 맞는 재료. 국내규격으로 목재는 길이 1.80, 2.70, 3.60m의 것. l 장척물(長尺物) : 정척물보다 긴 목재. 보통 0.9m씩 길어진 것을 표준으로 함. l 난척물(亂尺物) : 목재길이 규격에 있어서 1.8m(6자) ▪2.7m(9자), 3.6m(12자)이외의 재. l 장목(長木) : ①긴 나무. ②물건을 바치는 데 쓰는 긴 나무. l 잡장목(雜長木) : ①건축에 잘 쓰이지 아니하는 긴 나무. ②물건을 받치는 데 쓰는 긴 나무. 잡장개비. l 거친목재 : 제재목▪인거재 등의 대패질이 되지 않은 목재. l 만각(萬角) : 산판에서 적당히 켜서 만든 죽이 붙은 큰 각재. l 만각재(挽角材) : ①원목을 대략적으로 만들어 일부 수피가 남아 있는 거친 제재목. ②목재는 원목과 제재목으로 구분되고, 원목은 통나무 만각으로, 제재목은 널재▪오림목▪각재로 분류함. l 건목재 : 산판에서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은 거친 재목. l 자귀벌 : 산판에서 도끼나 자귀로 대강 다듬은 거친 재목. l 도끼벌 : 산판에서 원목을 도끼로 대강 다듬어 제목한 것. l 벌재 : 감추이거나 보이지 않는 곳에 쓰는 질이 나쁘고 흠집이 있는 재목. l 뗏목 : 산에서 벌목하여 강물에 띄웨 내려온 나무. l 물통나무 : 젖은 생나무. 물통이 나무. 물먹은 나무. l 날나무(生木) : 벌목한 지 얼마 안 되어 마르지 아니한 나무 생나무. l 잡목(雜木) : ①건축에 잘 쓰이지 않는 나무. ②광엽수로서 단단한 나무의 총칭. ③참나무 등의 속칭. l 괴잡목(傀雜木) : ①잡용으로 쓰이는 나무. ②단단한 참나무등의 속칭. l 산재(散材) : 쓸모없는 재목. l 재절목(栽切木) : 용도에 맞추어 마름질하여 잘라 낸 나무. l 재여목(栽餘木) : 잘라 쓰고 남은 목재. l 말단목 : 재목을 마르고 잘라버린 끄트머리. 토막나무. l 지가 : 원목에서 재목감을 잘라 내고 남은 가는 줄기와 나뭇가지. 우죽. l 청태목(靑笞木) : 생나무로 만든 연장자루에 쓰는 나무. 물푸레나무가 맣이 쓰임. l 뒤틀재 : 꼬이며 비뚤어지는 것. l 우죽 : 나무나 대의 우두머리 가지. l 유각목 : 위 끝이 두 갈래 가장귀가 벌어진 기둥나무. 참나무나 다른 잡목(雜木)으로 헛가게 등을 지을 때 씀. l 춘재(春材) : 나이테를 구성하는 조직이 무르고 덜 치밀한 목재. l 추재(秋材) : 나이테를 구성하는 조직이 단단하고 치밀한 목재. l 심재(心材) : 주심이 있는 부분에서 오려 낸 목재. l 유심재(有心材) : 수목의 중심부에 있는 적갈색의 단단한 부분에서 켜낸 제재목. 수심이 있는 재. l 거심재(去心材) : 수심이 들어 있지 않은 제재목. l 적심재(赤心材) : 나무의 심에 가까운 색깔이 붉고 단단한 부분을 켜 낸 제재목. 심재. l 황장재(黃腸材) : 수심에 가까운 적갈색이 나는 부분에서 잘라 낸 목재. 적심재(赤心材). ↔백변재. l 변재 : 통나무의 겉부분의 목질부. 심재에 비하여 색이 담백하고 수액이 많으며 균충해의 정도도큼. ↔심재. l 백변재(白邊材) : 수목의 표피 가까이에 위치한 담백색의 재. 담새부분의 목질부를 제재한 목재. 무르고 연하며 수액이 많고 탄력성도 크지만 함수율▪비중이 놓고 썩거나 변형이 잘 됨. ↔적심재. l 널 : ①두께 6cm 미만, 너비는 두께의 3배 이상으로 켠 목재. 널빤지. ②관(棺)이나 곽(槨)의 총칭. 널감. l 널빤지 : 원목을 얇고 넓게 켜낸 쪽. 널조각(널쪽). 널판. l 널장 : 한 장의 널. 널조각 널쪽. l 판재 : ①제재목으로 두계 6cm 이하이고, 나비는 두께의 3배 이상으로 켜낸 재. 널판자. ②관재(棺材). l 널판대기 : ①넓고 두꺼운 긴 널. ②두께 3cm이상, 나비 30cm이상 되는 판재. l 판자(板子) : 나무를 쪼개어 만든 얇은 조각. 널판재. 송판(松板). l 널판 : ①넓고 두꺼운 널. 판대기. ②두께 3cm이상의 두꺼운 널의 총칭. 널빤지. l 대반널 : 두께 3cm이상, 나부 30cm이상 되는 널재. 반재(盤材). 널판대기. l 판널 : ①두께 3cm이상의 두꺼운 널의 총칭. ②울거미를 짜고 여러 장의 널 또는 합판을 붙여 만든 넓은 판. ③파넬의 속칭. l 광후판(廣厚板) : 넓고 두꺼운 널판대기(화성성역의 궤). l 판대기 : 넓고 두꺼운 긴 널쪽. 널판대기. l 송판(松板) : 소나무를 켜서 만든 널. l 장송판(長松板) : 썩 긴 송판. 3.6cm 이상으로 긴 널판대기. l 백자널 : 잣나무의 널빤지. l 광가판 : 넓은 피나무널. 넓은 틀가락 널. l 마루널 : 마루에 깔아 대는 널. 한 옆의 홈을 파고 다른 옆을 혀를 내어 물리게 됨. 제혀쪽매 또는 딴혀쪽매로 함. 청판. l 플로어링보드 : 좁은 널에 제혀 또는 홈을 내어 마루에 까는 널. 참나무▪미송▪나왕▪이피톤 등의 굳고 결이 좋은 목재를 건조시켜 가공한 마루널재. l 쪽매판 : 좁은 널 서너 장을 족매하여 크기30cm 각 정도로 만들어 마루에 까는 정방형의 판. 뒷면에 쇠띠장▪쇠발을 대어 쪽매하고 옆은 홈과 제혀를 내어 서로 물리게 되었음. l 쪽매널 : 밑창널 위 까는 마루널에 여러 종류의 널조각을 무늬를 놓아 붙여 대는 데 쓰이는 널. 단풍▪박달▪자단▪흑단▪화류▪티크▪마호가니등이 색깔이나 널결이 아름다워 많이 쓰임. l 졸대 : ①얇고 좁게 오려 낸 널. 벽▪천장 등에 간격을 띄어 대고 회반죽바름의 바탕으로 쓰이는 나무오리. ②좁고 가늘게 쓰는 재의 총칭. l 졸대목 : 풍판(風板)의 널 사이에 덧박아 대는 나무오리. l 엇평 : 벽▪천장 등의 흙바름▪회반죽바름의 바탕꾸미기에 쓰이는 가느다란 나무쪽. 예전에 쓰이던 말로 지금은 대개 졸대라 함. l 유리누름대 : 유리를 고정시키는 테두리선. l 피죽 : ①나무 표면에 붙은 죽. ②죽더기의 딴이름. l 변죽 : ①대나무를 쪼갠 것 중 표피가 있는 것. ②변하여 제재목의 통나무 거죽이 붙은 널. ③그릇이나 세간들의 가장자리. l 변판(邊板) : 토나무의 갓변 겉쪽에서 제재된 널. l 죽더기 : 제재목 또는 오림재를 켜내고 남은 표피부분의 널모양의 나무. 피죽. l 죽널 : 널의 일부에 나무의 둥근 표피(죽면)가 있는 널. l 죽없는 널 : 죽이 들지 아니한 널. l 죽재 : 나무의 겉쪽에서 쪼개 낸 각재로서 표피(죽면)가 들어 있는 것. 죽각재▪죽널의 총칭. l 죽각재 : 제재목 또는 치목재에 표피(죽면)가 들어 있는 각재. l 널켜기 : 원목에서 널재를 켜내는 일. l 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이 되게 켜고 각기 연륜에 직각이 되게 널을 켜는 제재법. 곧은결의 널재를 얻고자 할 때 씀. l 방사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각기 대각선 방향으로 널으 켜는 제재법. 곧은결의 널재를 얻고자 할 때에 쓰임. 지름방향켜기. l 보통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지름방향 평행으로 널을 켜는 제재법. l 교대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좌우에서 직각 교대로 널을 켜는 제재법. l 석장곧은결켜기 : 원목을 사분원으로 켜고 한 변에서 널을 석장씩 평행으로 켜고 직교하여 석장을 켜내는 제재법. l 널결켜기 : 원목을 연륜의 45도 이내의 경사로 널재를 켜내는 일. l 연륜(年輪) : 수목의 횡단면에 보이는 동심원으로 된 둥근테. 일 년간에 성장이 왕성한 봄의 목질부는 크며 연약한 충(춘재)이 되고 여름 이후는 목질부가 작아지고 치밀한 충(추재)이 되므로 그 사이에 해마다 층이 생기게 되어 나무의 나이를 알 수 있음. l 나이테 : →연륜. l 수심(樹心) : 외향성장형(外向成長形)인 나무의 중심부에 있는 솜 같은 부분. l 수선(髓線) : 나무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간 줄(조직 부분). 그 세포 속에는 나무의 양분의 운반 정장이 됨. 목재에 따라 수선이 뚜렷한 것(참 나무)과 희미한 것(침엽수)이 있음. 수선은 널결에서 섬유방향에 짧고 가는 선으로, ?은결에서는 섬유방향에 직각인 띠형으로 나타남. l 신생조직(新生組織) : 수목의 껍질 부분에 새로 생긴 목질부. l 껍질: 생마누 목질부(木質部) 바깥에 둘러싸인 무른부분. 나무껍질. 수피. l 속껍질: 나무껍질에서 목질부 가까이에 있는 얇고 질긴 껍질. l 겉껍질: ①나무껍질에서 속껍질 바깥에 둘려 있는 두꺼운 껍질. ②씨앗의 외피. l 굴피 : ①참나무의 두꺼은 껍질. 지붕을 덮는 데 쓰임. ②나무껍질로 덮은 지붕. 굴피집. l 널거죽 : ①널면에 있어서 껍질에 가까운 쪽의 면. ②널면의 결점이 적은 쪽의 면. l 널안 : 널면의 수심에 가까운 면. 널뒤. l 나뭇결 : ①나무줄기의 중축을 통과하는 동단면에서 보는 곧은결과 중축을 비낀 종단면의 널결의 총칭. ②나무의 제재면에 나이테 등의 조직이 나타나는 무늬. 곧은결(이방곧은결▪사방곧은결), 널결, 무늬결, 엇결 등의 종류가 있음. l 곧은결 : 연륜에 직각방향으로 오려 낸 제재목면에 평행직선으로 나타나는 나뭇결. l 곧은결재 : 나이테가 평행직선으로 나타나게 제재한 재목. l 널결 : 나이테에 접선 방향으로 오려 낸 제재목면에 나이테가 무늬로 나타나는 나뭇결. l 널결재 : 나무를 나이테의 접선방향으로 켜서 널무늬가 나타나게 제재한 재목. l 점박이결 : 곧은결재에 수선이 나타난 것. 은목(銀杢). l 무늬결 : 나무의 종단면에 아름다운 얼룩 무늬로 나타나는 나뭇결. l 엇결 : 나무섬유가 꼬여 나뭇결이 휘거나 꼬이며 자란 나무를 직선으로 켤 때 연륜줄(나이테)이경사지게 나타나는 나뭇결. l 흠결 : 이그러진 나뭇결. 나무가 자라는 동안에 부러지거나 찢기어 생긴 상처가 자라며 굳어진 결. l 문돋이 : 곧은결의 목재면에 수선의 반점이 나타난 것. l 얼곧은결 : 곧은결의 목재면에 수선의 반점이 나타난 것. l 얼곧은결 : 수심에 가까운 제재면에 나타나는 널겨과 곧은결의 중간정도의 나뭇결. 수심부와 양변을 제외한 부분에 나타남. l 선회나뭇결 : 뿌리나 옹이 근처에서 생기는 널에 이리저리 도는 모양으로 된 나뭇결. 용목(龍木). 나선 나뭇결. l 실결 : 곧은결의 사이가 좁고 곱게 나타난 곧은결. l 마구리 : ①목재의 길이 방향에 직각으로 자른 끝면. 목구. 단구. 말구. ②벽돌의 6면 중 가장 좁은 면. ③긴 재료가 잘린 끝면. l 말구 : 통나무의 마구리. 끝마구리. 둥글고 긴 재목의 끄트머리면. 또는 그 지름. 상원경(上圓徑). l 끝마구리 : 통나무의 가는 웃끝의 마구리.밑마구리 : 통나무 밑의 굵은 마구리. 달원경. l 밑둥 : 긴 물건의 맨 아랫 동아리. 밑동. 기둥 밑동. l 밑둥 부리 : 원목의 아래 쪽을 잘라 ?은 부분. 밑 마구리. l 둥치 : 큰 나무의 밑둥. l 끝동(뿌리) : 두절목. 나무의 끄트머리 쪽을 잘라 낸 것. l 끄트러기 : ①쓰고 남은 자질구레한 재료. ②끊거나 깎아 내고 처진 나뭇조각. l 옹이 : 나뭇가지의 밑둥 부분이 제재목에 나타난 부분. l 절 : 나무줄기에서 가지가 돋아난 자리가 제재목에 나타난 부분. l 생옹이 : 제재목에 옹이 마디가 단단히 붙어 있고 빠지거나 썩지 아니한 옹이. l 죽은 옹이 : 제재목에 몹시 말라서 흔들리거나 빠지게 된 옹이. l 썩은옹이 : 목재면에 박?ㄴ, 썩어서 부석부석하게 된 옹이. l 무절(無節) : 옹이가 없는 제재목. 상재(上材)로서 창호재▪수장재▪가구재로 쓰임. l 소절(小節) : 작은 오이만이 있는 목재. 작은 옹이. l 대절(大節) : 큰 옹이만이 있는 목재. 큰옹이 l 옹이구멍 : 옹이가 빠져 구멍이 난 것. 빠진옹이. l 송진구멍 : 제재목에 나타난 송진이 모여 있는 곳(구멍). l 옹두리 : 옹이자리가 불룩 두르러진 것. l 껍질박이 : 껍질의 일부가 목재 내부에 들어 낀 것. 입피부. 나무가 자랄 때 피질이 목질에 감싸여 있다가 제재목에 나타남. l 나무진홈 : 나무가 생육할 때 생기는 수분▪양분 등의 액체가 길게 모여 있는 것. 송진흠. l 죽 : 제재목의 모서리 또는 옆면에 통나무 표피면이 남아 있는 부분. l 흠집 : 목재의 나쁜 부분이 있는 것. l 숨은흠 : 목재의 내부에 숨어 있는 흠집. l 찍김 : 갈고리쇠나 돌에 찍혀져서 생긴 흠. l 갈램 : 목재가 마르면서 갈라진 틈서리. 목재흠의 한 가지. 균열. l 건조갈램 : 목재 건조에 따른 불균형 수축으로 생기는 갈램. l 마구리갈램 : 목재의 마구리면이 건조하면서 갈라진 곳. 방사갈램과 두리갈램이 있음. l 방사갈램 : 목재의 연륜에 직각방향으로 갈라진 것. 심갈램. l 심갈램 : 원목의 수심부에서 방사상으로 생긴 심재(心材)의 갈램. 노목의 입목 중에 심재부의 수축에 의하여 생김. l 두리갈램 : 목재가 나이테를 따라 둥글게 갈라지는 것. l 좀먹음 : 좀벌레가 나무 속을 파먹어 생긴 목재의 구멍난 흠집. l 부식(腐蝕) : 물체가 공기 또는 물과 접촉하여 그 속에 함유된 산소와 산화작용을 하여 썩는 현상. l 건식(乾蝕) : 균사속(菌絲束)이 있는 부후균(腐朽菌)이 지면 또는 그 부근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비교적 건조된 상태로 목재의 표면에 발육 만연되어 재가 갈색으로 변색하며 썩는 것. 건부(乾腐)라고도 함. l 습식(濕蝕) : 호습성▪목재부후균에 의한 목재의 썩음. 썩정이는 갈색을 띠고 습기차짐. l 삭기 : 비교적 소량의 습도로 성장하는 목재 부후균에 의하여 건조상태로 썩은 것. 이것은 취약(脆弱)해지고 손으로 비비면 바삭바삭한 분말로 됨. l 방화목재(防火木材) : 목재를 방화약제로 처리하여 불연성(不燃性)으로 한 것. 보텅 방화약제에는 인산(燐酸) 암모늄을 가입주입함. l 방부목재(防腐木材) : 방부재를 주입하거나 침투시킨 목재. l 구새먹음 : 통나무의 수심부가 썩어서 생긴 큰 구멍. 구새통(구새먹은통. 농가의 굴뚝 등에 쓰임). l 구새통 : ①구새가 먹어 속이 구멍이 난 통나무. ②굴뚝. l 굽정이 : 저절로 휘어 구부러진 통나무나 제재목. l 썩정이 : ①목재의 썩은 부분. ②썩은 부분이 있는 목재. l 삭정이 : 삭은나무. l 우르렁이 : 평면진 나무의 한가운데가 우그러든 것. l 쭈그림 : 재면에 다른 부재가 압축되어 들어가는 작용. l 목재건조(木材乾操) : 목재의 수분▪수액 등을 뽑아 내는 것. 목재의 신축변형을 작게 하고 강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말리는 것. l 자연건조(自然乾操) : 목재를 직사일광을 피해 공기의 유통이 좋은 그늘에 쌓아 두어 자연적으로 건조시키는 것. l 삶은건조 : 목재를 삶아 끓여 건조 시키는 것. 자비건조. l 침수건조(浸水乾操) : 목재를 수중에 담갔다가 건조시키는 것. l 건목(乾木) : ①건조한 목재. 마른나무. ②진을 뽑은 나무. l 마른나무(乾木) : 건조한 목재. 함수율 13~18%가 표준임. 건조재. 건목. l 건조재(乾操材) : 수분이 적은 목재. 함수율이 13~18%이하로 건조된 목재. l 기건재(氣乾材) : 대기중에서 건조 시킨 목재. 보통 함수율이 13~18%정도임. l 흡수율(吸水率) : 표면건조 내부포수상태의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전수량의 걸대건조 중량에 대한 백분율. l 함수율(含水率) : 재료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중량의 건조상태 중량에 대한 백분율. l 함수량(含水量) : 재료의 표면 및 내부에 있는 물의 전중량. l 반수둑이 : 반만 건조하고 반은 젖어 있는 상태의 목재. l 수상목(水上木) : 뗏목으로 운반된 목재. ↔경산목(京山木). l 수상재(水上材) : 뗏목으로 운반하여 내려온 목재. 수상목. l 산재(山材) : 가까운 산에서 나는 목재. l 경산재(京山材) : 가까운 산에서 벌목한 목재. 산재. 서울 근교에서 나는 목재. ↔수상목. l 연목재(軟木材) : 재질이 무른 목재. 일반적으로 침엽수의 목재에는 연목재가 많음. l 마른나무 : 질이 무르고 비중이 작은 나무. 연목재. 연질목. l 굳은나무 : 질이 단단하고 비중이 큰 나무. 일반적으로 참나무류에는 굳은 나무가 많음. 경질목. l 구슬선 : ①구석 틈서리 등에 눌러 대는 선(가는 나무오리). 누름선. 누름소란. ②선으로 대는 나무오리에 구슬 모양을 돋히거나 보기 좋은 쇠시리를 한 것. ③아크용접▪가스용접에 있어서 용접봉이 1회 통과함에 따라 모재 표면에 용착되는 금속층. ④함석▪플라스틱 제품 등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가장자리를 조금 말거나 꼬부린 선. l 합판(合板) : 두께 1~2mm로 얇게 쪼개 낸 단판을 3장 이상 여러 겹(기수겹)으로 교착한 넓은 판. 표면의 것을 표판(表板), 뒷면의 것을 뒷판, 중심에 있는 것을 심판(心板)이라 하고 겹칠 때는 섬유방향이 서로 직교되게 하며 내수정도에 따라 품질을 구별함. l 베니어판 : 합판▪적층재(積層材)을 만들 대에 쓰이는 아주 얇게 오려 낸 널. 두께는 보통 1~2mm정도이고, 오리는 방식에 따라 로터리베니어, 슬라이스드 베니어, 소운 베니어가 있음. 합판을 베니어판이라고 속칭하는 것은 잘못임. 단판(單板). l 단판(單板) : 베니어판. 적층판에 대한 것임. l 로터리베니어 : 로터리 래스에 의하여 둥근 원목을 돌려서 벗겨낸 단판. 원목의 지름 40~60cm, 길이 2~2.5mm이고 재장 이상의 긴 대패날로 회전벗김으로 하여 합판의 단판으로 쓰임. l 슬라이스드베니어 : 목재를 고정하고 긴 대패날로 평면지게 밀어 벗긴 얇은 단판. 합판 제작에 쓰임. l 소운베니어 : 톱으로 켜낸 단판. 켜낸 단판. l 적층재 : 단판을 여러 겹으로 접착한 판재. 두께 1~1.6mm의 단판을 접착하여 130도 정도로 가열 수지를 함침시킨 단판을 100~300kg/㎠로 압축하여 비중 1.25~1.4의 적층재를 경화적층재(硬化積層材)라 하고 또 강화목(强化木)이라고도 한다. 또 켜낸 판 적층재 또는 집성재(集成材)라 한다. l 집성목재(集成木材) : 두께 2.5~5cm의 판을 섬유방향만으로 겹쳐 접착된 적층재. 길이 및 나비 방향으로 이어 대거나 붙임. l 무늬목 : 대패밥 모양으로 두께 1mm내외로 벗겨 낸 얇은 나무. 합판 등의 표면에 치장으로 붙여대는 데 씀. l 외목(椳木) : 흙벽의 바탕으로 엮어 대는 가는 나뭇가지. 수수깡▪갈대▪싸릿개비▪쪼갠 대가지 등. 옻나뭇가지는 잘 썩지 아니하여 흔히 쓰이었다고 함. →졸대. 엇평. 외(준). l 대오리 : 대를 가늘게 쪼개어 외로 쓰이는 대쪽. l 수수깡 : 수수의 대. 잎을 다듬어 외로 쓰이는 것. l 싸리 :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 건축에서는 산자감으로, 굵은 것은 연침재로 쓰임. l 겨릅(대)(魔骨) : 삼대의 껍질을 벗긴 속대. 삼대. 마골. l 삼대 : 겨릅대. 삼대의 껍질을 벗긴 속대. 마골. 겨릅대. l 숙마 : 삼을 익혀 벗겨 낸 껍질. 밧줄을 꼬는 데 쓰임. l 바자 : ①대▪갈대▪수수깡▪싸리나무 등으로 발처럼 엮거나 곁은 물건. 울타리를 치는 데 씀. 파자. ②바자울의 준말. l 개바자 : 갯버들의 나뭇가지로 엮어 만든 바자. l 싸리바자 : 싸리를 성기게 발모양으로 엮거나 곁은 것. 채마밭의 울타리 또는 간단한 헛간의 벽에 쳐서 막음. l 새끼 : 짚으로 꼰 줄. l 고색 : 새끼 (차자표기). l 짚 : ①벼▪밀▪조 등의 이삭을 떨어 낸 줄기. ②볏짚. l 생칡 : 칡나무의 덩굴. 밧줄을 꼬거나 외가지▪산자 엮는 새끼 대신에 쓰이었음. l 새 : ①띠▪억새 같은 풀의 총칭. ②억새. ③이엉. ④땔나무. l 섭 : 잎나무. 땔나무. 새. 섭새(평안). 사립문을 만드는데 씀.
|
한국 건축 용어 Ⅲ 2. 장식▪못 l 철물(鐵物) : 쇠로 만든 옷갖 물건. 금물(金物). l 금물(金物) : ①쇠붙이로 만든 물건. 철물. ②금동▪청동▪황동▪백동 등의 고급 금속재의 장식이나 창호 철물. l 이음철물 : 목 구조물의 각부재의 접합부를 보강하는 데 쓰이는 철물. l 이음쇠 : 두 재의 이음을 보강하여 대는 철물. 이음철물. l 꺾쇠 : 목조 건축에서 두 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양끝을 꼬부려 두재를 쳐서 박아 보강하는 철물. 몸퉁은 원형▪각형▪형각형이 있고 모양은 엇꺾쇠▪주걱꺾쇠 등이 있음. l 평꺾쇠 : 몸통이 장방형 단면으로 된 꺾쇠. 얄팍한 띠쇠를 배둥글게 하기도 함. l 원꺾쇠 : 몸통의 단면이 원형으로 된 꺾쇠. l 네모꺾쇠 : 몸통이 사가형으로 된 꺾쇠. 각꺾쇠. l 엇꺾쇠 : 양끝머리가 서로 직각 방향으로 어긋나게 된 꺾쇠. l 어금꺾쇠 : 엇꺾쇠. l 주걱꺾쇠 : 한 끝은 꺾쇠, 다른 끝은 띄쇠 모양으로 되어 못으로 고정하게 된 꺾쇠. 단촉꺾쇠. 대갈꺾쇠. l 단촉꺾쇠 : 주걱꺾쇠. l ㄱ자쇠 : 띠쇠를 ㄱ자형으로 구부리거나 오려서 만들어 접합부를 보강하는 데 쓰는 철물. l 주석쇠 : 목재의 이음맞춤자리의 보강▪마멸방지 또는 장식으로 쓰이는 놋쇠. l 국수형 거멀잡이 : 몸통이 가늘고 등을 조금 불룩하게 휘어 만든 거멀용 장식쇠. l 굽쇠 : ㄱ자 또는 ᆮ자로 꺾어 구부린 철물. l 정자쇠 : 정자형(丁字形)으로 생긴 연결쇠. l 새발장식 : 창문▪가구 등의 울거미의 맞춤새를 연결 보강하며 장식으로 대는 철물. l 오족철(烏足鐵) : 창문 울거미가 벌어지지 않도록 덧붙인 거멀쇠. l 모서리쇠 : 기둥▪벽▪모서리에 세워 대어 미장 벽면의 모서리가 상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철물. 코너비드. l 귀싸개장식: 갑이나 함등의 삼면 모퉁이를 감싸 대는 장식쇠. l 감잡이쇠 : ①띠쇠를 ewkgud으로 꺾어 만든 보강철물의 하나. 대문널 감잡이쇠. ②평보를 대공에 달아맬 때 또는 평보와 ㅅ자보의 밑에 감게 되는 철물. l 거멀장 : ①나무 그릇 등의 맞추어 짠 자리 또는 모퉁이에 걸치어 대는 쇠. ②문을 건 사이가 벌어지지 않게 하는 일. l 거멀장식(巨勿裝飾) : 나무 그릇 등의 이어 댄 자리나 맞춘 자리에 걸치어 대는 쇠. l 거멀쇠 : 부재의 이음새▪맞춤새에 틈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철물. l 거멀쪽 : 함석▪동판지붕의 옆이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는 함석 또는 동판쪽. 빈말기기와 가락의 밑씌움과 덧씌움새에 끼워서 보강하는 쪽. l 띠쇠 : 띠모양으로 된 이음 철물. 좁고 긴 철판을 적당한 길이로 잘라 이음새▪맞춤새에 대어 두 부재가 벌어지지 않게 보강하는 철물. 대철. l 안장쇠 : 한 부재에 걸쳐 놓고, 다른 부재를 받게 되는 안장처럼 만든 철물. l 견마대철(牽馬帶鐵) : 안장쇠. l 박공장식 : 좌우 박공판이 맞닿는 데 보강과 장식을 겸하여 박아 대는 철물. 지내철▪방환▪현어 따위. l 지네철 : 박공판이 용마루 부분에서 마주치는 곳에 좌우 박공판을 연결 고정하는 꺾쇠모양의 철물. 또 널찍한 철판에 무늬를 새긴 것도 쓰임. l 방환(芳環) : 박공판을 박아 댄 못머리를 덮어 가리어 박은 장식 철물. l 현어(懸魚) : 박공판이 용마루에서 마주치는 하부에 다는 물고기나 초화(草花)형의 장식 철물. 중간 중도리의 마구리 부분에도 댐. 수어(垂魚). l 내림현어 : 지붕의 내림마루 중간 또는 아래부분의 밑에 장식으로 단 현어. l 수어(垂魚) : 현어(懸魚). l 지느러미 : 박공장식인 현어의 좌우에 붙여 대는 장식. l 사래끝장식 : 사래 끝머리에 박아 대는 장식 철판. 나무의 부식을 보호하며 장식하는 것. 기와로 만들기도 함. l 사래볼철 : 사래의 옆면에 대는 장식쇠. l 법수편철(法首片鐵) : 난간 어미 기둥 머리를 장식하고 돌란대 등과 연결 고정하는 철물. l 나사탕개 : 나사를 틀면 좌우에 연결되는 쇠가 서로 당겨지게 된 쇠. 턴바클. l 동물림(장식) : 가늘고 긴 물건이 서로 맞대어 잇는 자리에 대는 장식. l 흠걸이 : 처마 끝이나 벽에 꽂아 흠통을 연결 고정하는 쇠. l 아궁쇠 : 불아궁이에 대는 뚜껑이 달린 철물. 아궁철물. 불아궁문. l 아궁문 : 불아궁이나 재아궁이에 대는 뚜껑이 달린 철물. 아궁쇠. l 재거르개 : 불아궁이의 밑부분에 걸쳐대어 연료가 탄 재를 밑으로 걸러 내는 철물. 한 가래씩으로 된 것과 발처럼 된 것이 있음. l 발재거르개 : 발이나 석쇠처럼 한 판으로 만든 재거르개. l 가래재거르개 : 한 가래씩으로 만들어 여러 개를 배열하는 재거르개. 화격자. l 화격자(火格子) : 석탄 등을 연소시키기 위하여 노흉(爐胸)바닥에 배열한 주철봉. 그 위에 연료를 넣고 밑에서 공기를 보내어 연소시키는 장치. 재거르개의 한 가지. 가래재거르개. l 부시 : 새가 ?지 못하도록 포살미를 꾸민 집. l 마름쇠 : 마름모형으로 가시를 돋힌 쇠. ①진지(陳地)에서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하여 성벽 바깥 지면에 흩어 놓음. ②기와등▪용머리의 꼭대기에 새가 앉지 못하게 대는 쇠. 여철(黎鐵). 질려철. l 못 : 목재의 이음▪맞춤 기타 접합부에 박아 보강하는 철물. 재질상 강철재못▪대나무못▪구리못▪놋쇠못 등이 있고, 머리모양 및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음. l 모다구 : 못(황해▪평안▪함경도 방언). l 쇠못 : 쇠로 만든 못. 양정(洋釘)과 재래정(在來釘)으로 구분함. l 철정(鐵釘) : ①철재로 만든 못. 쇠못. ②철재로 만들어 돌을 평탄하게 쪼는 석공 기구. 쇠정. l 철사못 : 철선으로 만든 보통 쓰이는 못. l 양정(洋釘) : 철선을 자르면서 머리 모양을 내는 현대 공법으로 만든 못. ↔재래정. 재래 쓰이던 사각형단면의 구별하기 위한 이름. l 편철정(片鐵釘) : 쇳조각으로 만든 쇠못. l 네모못 : 몸통의 단면이 네모로 된 쇠못. l 방정(方釘) : 몸통의 단면 또는 못머리가 정방향으로 된 쇠못. →네모못. 재래정. l 둥근못 : 몸통의 단면이 원형인 쇠못. 원정. l 원정(圓釘) : 몸통의 단면이 원형인 쇠못. 둥근못. l 원두정(圓頭釘) : 머리가 원형으로 된 쇠못. 평원두정과 불룩원 두정이 있음. l 불룩원두정 : 머리의 모양이 반구형(半球形)으로 불룩하게 된 못. l 평두정(平頭釘) : 머리가 넓고 평평하게 된 못. 납작머리 못. l 민머리못 : 머리가 작고 평평한 못. 머리가 재면에 잘 나타나지 않게 됨. l 불룩머리못 : 머리가 둥글고 불룩하게 된 못. l 네모머리못 : 머리가 네모로 된 못. 방두정. l 방두정(方頭釘) : 네모머리못. l 각두정 : 머리가 사각형으로 된 못. 평각두정과 불룩각 두덩이 있음. 방두정(方頭釘). l 불룩방두정 : 머리가 각추형으로 불룩하게 된 못. l 도내두정(道乃頭釘) : 머리가 흠구멍(도내)에 맞게 만든 못. 못머리가 두두룩하며 좁고 길게 되었음. l 광두정(廣頭釘) : 머리가 크고 넓게 만들어 장식 겸용으로 쓰이는 못. l 대두정(大頭釘) : 못머리를 크게 만든 못. l 대갈못 : 대가리가 뚱뚱하고 큰 쇠못. l 접시대갈못 : 못머리가 둥글납작한 못. 명두정(茗頭釘). 일본「사라뵤오」에서 딴 말. l 큰못 : 보통 쓰이는 못보다 큰 못. 양정에서는 길이 15cm이상, 재래정에서는 기링 20cm이상의 못. l 잔못 : 길이가 작은 못. l 바늘못 : 바늘과 같이 몸통과 머리가 가늘게 된 강철재 못. 장식띠나 합판 등을 박아 대는 데 쓰임. l 절정(切釘) : 보통 못의 대가리를 잘라 버리고 쓰는 못. 양끝못. l 양끝못 : 못의 양쪽 끝을 뾰족하게 만들어 붙임널에 쓰는 못. l 은혈못 : ①양끝이 뽀족하고 머리가 없는 못. 널붙임에 쓰임. 양끝못. ②나무를 조금 파고 박아 못머리가 감추어지게 박은 못. 은정. l 은정(隱釘) : ①은혈못. ②숨은못치기. l 양판못 : 장식띠나 쇠시리 등을 박는 아주 작은 못. l 고리못 : 한 끝을 구부려 고리처럼 만든 못. l 갈고리못 : 머리가 직각으로 구부러진 못. l 곡정(曲釘) : 갈고리못. l 거멀못 : ㄱ자 또는 ㄷ자형으로 구부려 만든 못. 두 재를 연결하거나 깨진 독 등을 연결할 때에 쓰임. 또 철망▪메탈라스 등을 치는 데에도 쓰임. l 찰거머리 : 쪽매널을 거멀하는 철물. 주름못. 거멀못의 별칭. l 압항정 : 가막쇠와 같은 작용을 하는 못. 오리못. l 주름못 : 끝이 톱니모양으로 되고, 몸통은 주름잡은 판철로 만든 거멀못. 목재를 쪽매하는 데 쓰임. l 가시못 : 몸통에 가시를 돋힌 못. 처박으면 잘 빠지지 아니함. l 비녀못 : ①빠지지 않게 깊이 처박는 길게 만든 못. 차정. ②뒤끝을 구부려 사려박은 못. ③삼배목에 끼우는 심대. l 차정 : 비녀못. l 산지못 : 산지로 박는 못, 또는 산지에 박은 못. l 동자정(童子釘) : 아주 작은 못. 소정(小釘). l 국화동자정(菊花童子釘) : 국화꽃 모양의 장식이 있는 작은 못. 판▪난간 등에 박는 장식못. 국화동정(준). l 국화동정(菊花童釘) : 국화동자정의 준말. l 국화쇠 : 꽃무늬를 새겨 만든 장식 철판. 배목▪고리 등의 밑판 또는 못머리의 장식으로 댐 한장의 철판에 꽃무늬를 돋히거나 여러 겹으로 겹쳐 대기도 함. 괏쇠(준). l 괏쇠 : 국화쇠의 준말. l 은혈장식(隱穴裝飾) : 박은 못머리를 가리어 장식으로 대는 쇠. l 기와못 : 기와를 지붕널 등에 고정하는 못. 한식기와 못▪슬레이트기와못 등이 있음. l 와정(瓦釘) : 기와못. l 박이 : 박히어 있는 것. 박이의 차자표기(화성성역의궤). 부재에 박는 못이라는 뜻임. l 꽂이못 : 물건이나 재료를 빠지지 않게 깊이 박아서 고정하는 데 쓰는 긴 못. 박이못. l 괘정(掛釘) : ①걸쇠. ②갈구리가 달린 못. l 변자못 : 물건의 가장자리를 꾸미는 재료를 박아대는 작은 못. l 용두박이 : 용머리 기와에 박는 긴 못. l 취두박이 : 취두(鷲頭)기와에 박아 대는 쇠못. l 종심추녀박이 : 용마루에 오는 추녀를 누질러 박는 못. l 종심박이 : 용마루 또는 그 위에 대는 적심을 박아 대는 못. l 방초박이 : 숫막새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박아 대는 못. l 방초정(防草釘) : 수키와가 흘러내리지 않게 기와등에 뚫은 구멍에 박는 긴 못. l 유리못 : 유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누름대▪누름퍼티등에 박는 작은 못. l 세모못 : 철판 등을 삼각형으로 뾰족하게 만들어 목재 창호 반죽 퍼티를 누르기 전에 유리를 고정하기 위하여 박는 못. l 나무못 : 대나무 또는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 구멍을 파고 꽂아 넣는 못. 목정. l 대목 : 대나무로 대가리 없이 한 끝만 뾰족하게 만든 못. 대나무못. l 대나무못 : 대나무를 쪼개어 깎아 만든 못. 목공사의 수장재에 쓰임. 대못. l 못머리 : 못의 몸통 위에 조금 넓게 만든 부분. 못대가리(낮은 말). l 못대가리 : 못의 모통 nl에 조금 넓게 만든 부분. 못머리. l 나사 : ①철재나 목재에 틀어박는 못. ②그 몸통에 나선형으로 둘려 있는 요철 부분. 못을 틀어 죄면 나사가 있어 빠지지 않게 됨. 목재에 쓰는 것을 나무나사못. 철재에 쓰는 것을 나사라고 함. 나무나사못은 끝이 가늘고 뾰족하며, 철재나사는 모통의 상하가 동일한 굵기임. l 나사못 : 나무에 박을 때 쓰는 나사를 낸 못. 나무나사 못의 준말. l 비스 : 작은 나사. 철재에 박는 작은 나사못의 속칭. 불어에서 온 말. l 소나사못(小螺絲釘) : 작은 나사 못.
|
|
| |
|